누락된 경우 추가 신청 가능
![]() |
△ 분주히 업무 보는 선관위 직원들 |
(서울=포커스뉴스) 20대 국회의원 선거 보전비용으로 청구된 금액이 총 1033억246만원으로 집계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6일 "등록된 후보 965명 중 675명의 후보자가 보전청구를 했으며 그 중 전액 청구가 605명, 반액 청구는 70명"이라고 밝혔다.
선거비용 보전 제도란 선거를 치르고 난 뒤 후보자가 법정선거비용 범위 내에서 사용한 비용 중 일부를 국가가 지원해 주는 제도다.
전액 보전은 당선, 사망, 후보자의 득표수가 유효투표총수의 100의 15이상일 때에 가능하다.
반액 보전은 후보자의 득표수가 유효투표총수의 100의 10이상, 100의 15미만일 때 할 수 있다.
마감일이었던 25일까지 접수된 상황을 보면 지역구 후보의 경우 새누리당은 후보 248명 중 225명(전액 223명, 반액 2명)이 보전청구를 했고 더불어민주당은 235명 중 231명(전액 225명, 반액 6명)이 보전청구를 했다.
국민의당은 173명 중 154명(전액 104명, 반액 50명), 정의당은 53명 중 단 7명(전액 6명, 반액 1명)만 청구했다.
보전비용 평균 청구액은 정의당이 1억4517만9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더민주가 1억359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새누리당은 평균 1억2531만3천원, 국민의당은 1억1274만4천원이었다.
보전비용 청구 총액은 더불어민주당이 313억9321만7천으로 가장 높았다.
가장 많은 금액을 신청한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 낙선한 김영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2억3320만3921원을 신청했다.
가장 적은 금액을 신청한 후보는 새누리당의 이군현 후보로 제한액 대비 1.42%의 금액만 신청했다. 총 2915만천원을 신청한 이군현 후보는 20대 총선에서 당선됐다.
중앙선관위는 "접수 기간은 끝났지만 회계 과정에서 누락된 경우 후보 개인이 추가로 신청할 수 있다"며 "지역구는 5월13일까지, 비례대표는 5월23일까지 추가 신청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제20대 국회의원선거일인 13일 오후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마련된 선거상황실에서 직원들이 분주히 업무를 보고 있다. 2016.04.13 오장환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