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는 '동네빵집' 등 중소기업적합업종의 동반성장과 상생협력을 위한 지원을 강화한다고 25일 밝혔다.
중소기업적합업종 제도는 중소기업협동조합 등 중소기업자 단체가 동반성장위원회에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을 신청하면 대·중소기업 간 협의를 거쳐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지정하는 제도다.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지정된 업종에 대해서는 동반성장위원회가 대기업 진입 제한 등을 권고한다. 지정기간은 3년이며 협의를 통해 3년 연장할 수 있다.
서울시는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추가 지정되길 원하는 업종에 대해 실태조사 용역을 지원한다. 또 중소기업적합업종에 대한 상시 모티터링이 가능하도록 '온라인 신고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실태조사 용역 지원은 중소기업자 단체가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을 신청하기 위해 제출해야 할 자료인 '피해사실 입증자료'를 준비한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실시된다.
서울시는 "직접 자료를 준비하기 어려운 영세 중소기업과 상인들을 대신해 서울시가 연구용역을 통해 피해여부를 확인하는 실태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태조사는 중소기업적합업종 신규지정을 계획 중인 중소기업자 단체가 서울시에 신청하면 서울시가 대상 업종을 선정한 후 연구용역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올해 3개 업종에 대해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지정 후 권고사항들이 제대로 지켜지는지 감독하기 위한 '온라인 신고센터'도 운영할 방침이다.
시민들이 '온라인 신고센터'에 권고사항 위반 사실을 접수하면 시민 모니터링단이 현장에 나가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동반성장위원회, 중소기업중앙회 등에 알리게 된다.
아울러 서울시는 중소기업적합업종 신청 및 지정 기간 중 중소기업자 단체로부터 애로사항 등 의견을 듣고 관련된 법령개정에도 나설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중소기업적합업종 중 하나인 제과점업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25일 오전 서초구의 한 동네 빵집을 방문한다. 이어 중소기업적합업종 보호·활성화를 위해 전문가,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 등과 개선대책과 지원방안을 논의한다.
이 자리에는 이번 20대 국회의원 당선자인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의원과 이학영 의원도 참석한다.
박 시장은 "'경제민주화 특별시 서울' 선언의 실천과제 중 하나인 중소기업적합업종 보호·활성화를 통해 대·중소기업이 상생하는 경제 환경을 조성해나가고자 한다"며 "지역 특색이 살아있는 골목상권이 부활하고 건강한 경제 생태계가 조성되면 관광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빵 위에 설탕을 뿌리고 있다.(C)게티이미지/멀티비츠 2015.08.16 ⓒ게티이미지/멀티비츠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