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1~2개 통폐합 실현 가능성 없어”…경쟁력 지켜내야
![]() |
△ 사진.jpg |
(서울=포커스뉴스) 최악의 침체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는 조선업이 결국 정부 주도로 구조조정될 위기에 놓였다. 특히 조선 빅3를 1~2개로 통폐합하는 안이 유력하게 거론되지만, 조선업계 안팎에선 회의론도 만만찮다.
조선 빅3의 지난해 영업손실은 8조5000억원이 넘는다. 대우조선해양은 무려 5조500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고, 현대중공업은 9분기 연속 적자를 내며 최악의 침체를 이어가고 있다. 게다가 지난 1분기 조선 빅3의 선박 수주는 8척에 그쳤다.
해양플랜트에서 나온 대규모 손실로 인한 일시적 적자일 것이라는 예측은 빗겨갔다. 혹독한 수주가뭄까지 길어지자 대형 조선사의 독자 생존력에 대한 의문부호마저 달리고 있다.
이에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각각 인력 3000여명의 인력을 구조조정안을 실행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이미 조선 3사는 적자 탈출을 위해 자체적으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 중에 있다.
정부 또한 이에 가세해 조선사 통폐합, 인수합병(M&A) 계획을 준비 중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주 중 금융위원회 주도로 범정부부처 3차 구조조정협의체를 가동해 산업 구조조정 상황을 평가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한다. 특히 정부가 구조조정 1순위로 지목한 산업이 조선인 것으로 전해져 조선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정부는 경영난을 겪고 있는 기업에 공적자금을 투입해 회생시키는 방식에서 벗어나, 기업간 M&A와 같은 빅딜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처럼 공급 과잉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M&A 방식으로 업체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판단에서다.
유력한 구조조정안 중에 하나는 은행권 등 채권단이 관리하는 조선업체에 대한 통폐합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산업은행이 대주주로 관리하고 있어 사실상 정부 소유나 다름없다. 특히 지난해만 5조5000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회생가능성이 급격히 하락한 대우조선은 삼성중공업이나 현대중공업과 합병하는 시나리오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중소조선업체들도 구조조정의 칼날을 빗겨나가진 못할 전망이다. 특히 STX조선해양과 한진중공업은 현재 채권단 공동관리를 받고 있다. 역시 채권단에 운명이 맡겨진 성동조선은 삼성중공업의 위탁 경영까지 돌입한 상태다. 이들을 통폐합하는 안도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업계에선 이러한 정부의 구조조정에 대한 회의론이 흘러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초대형 기업 간의 M&A가 현실적으로 가능할지가 의문”이라며 “정부에서는 삼성중공업이나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을 인수해주길 희망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들조차도 최악의 위기인 상황에서 나서기 힘들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이런 구조조정안은 일본의 조선사 구조조정과 비슷하다. 1970년대까지 선박 분야에서 압도적인 기술력을 보유했던 일본은 업황이 나빠지자 정부 주도하에 87년까지 61곳의 중견 조선소를 26개로 통폐합했다. 선박의 설계도면을 표준화해 일률적인 형태의 배를 제작하는 표준선 개념도 도입했다. 원가는 낮출 수 있었지만, 선주사들의 다양한 요구를 맞추지 못했다.
일본의 구조조정과 반대로 한국은 대형 도크에 집중 투자해 선박 대형화 추세에 대응했다. 초대형 선박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경쟁력을 확보해가며 한국은 글로벌 조선업 1위로 올라서게 됐다.
몸집을 줄이는데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경쟁력 강화’가 구조조정의 가장 중요한 목표가 돼야 하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악화된 시황이 회복됐을 때, 과도한 구조조정을 후회하게 될 지도 모른다”며 “경쟁력 있는 부분들은 평가해서 확실히 지켜내야 한다”고 말했다.최근 인도된 송가 반잠수식시추선의 모습 <사진제공=대우조선해양>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사진제공=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의 FLNG(Floating LNG, 부유식 LNG 생산설비).<사진제공=삼성중공업>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