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6-04-18_132854.jpg |
(서울=포커스뉴스) 그간 공급자 중심의 양적 투입 확대를 통해 창업저변을 확대하는데 집중했던 창업정책이 글로벌 시장경쟁력을 확보한 '스타 벤처기업 육성'으로 전환한다.
중소기업청(이하 중기청)은 18일 기술창업 기업이 글로벌 벤처로 도약·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창업기업 육성정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중기청은 우선 기존의 창업저변 확대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쉬운 '하이테크 창업' 중심으로 지원 방향을 바꾸고, 창업 단계부터 해외 시장을 겨냥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기술인력 창업투자 펀드를 만들고 대학 기술창업 엑셀러레이터를 설치하는 한편, 신산업 분야 창업을 위해 '특화형 팁스(TIPS·민간주도 창업지원사업)'도 도입한다.
'특화형 팁스'는 자유 과제를 수행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바이오산업 등 신사업 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전략적 공모를 확대하는 방식이다.
해외 창업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현지 액셀러레이터와 벤처캐피탈(VC)을 활용한 창업 지원을 지난해 33억원 규모에서 올해 100억원 규모로 늘린다.
실리콘밸리에 한국 창업기업 전용 입주공간을 마련하고, 미국 기업 등 투자자를 대상으로 국내 우수 창업기업의 투자 설명회를 여는가 하면 크런치베이스(Crunchbase) 같은 해외 투자중개 사이트에서 국내 창업기업의 정보를 제공한다.
창업기업의 '성장사다리'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창업 3년 이내 초기 기업에 집중된 창업 예산을 창업 3∼7년의 '도약기 기업'으로 분산한다. 올해 창업 지원 예산의 72%가 집중된 초기 기업 지원 비중을 내년에는 53% 수준으로 줄이고, 도약기 기업 지원은 16%에서 35%로 늘리는 안을 검토 중이다.
성장사다리 강화를 위해서는 인수·합병(M&A) 시장의 활성화도 중요하다고 보고 M&A펀드 규모를 지난해 1500억원에서 올해 200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한, 사업 평가위원을 민간 전문가 중심으로 개편하고 기업이 평가위원을 평가하는 '역평가제도'를 도입키로 했다. 창업 지원을 '시장밀착형'으로 바꾸기 위해서다.
중기청은 대학·연구소·대기업 경력이 있는 고급인력의 창업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올해 150억원 규모로 조성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참여한 컨소시엄을 팁스 운영사로 지정할 계획이다. 유망 창업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도 1600억원 규모로 만들 방침이다.
그런가 하면 중기청은 최근 더벤처스 사태로 논란이 된 팁스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운영사별 평균 지분율을 공개하고 투자조건, 지분 인정 범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로 했다.
운영사와 창업기업의 매출액·투자유치액·지식재산권 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도 꾸린다.
주영섭 청장은 "기술력으로 무장한 창업기업 육성은 대내외적인 위기로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우리경제에 '혁신의 바람'을 불어넣으면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정책"이라며 "'내수 위주의 아이디어 창업'에서 우수 기술인력이 적극 참여하는 '해외시장지향형 기술 창업'으로의 정책 혁신을 통해, 우리나라도 창업이 고용과 성장의 원천으로 작동하는 '창업국가'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창업기업 육성정책 5대 혁신전략.<자료제공=중기청>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