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北종업원 집단탈북, 유관부서간 긴밀 협조"

편집부 / 2016-04-12 15:35:25
"탈북민, 한국행 희망하면 인도주의원칙 하에서 관련국과 긴밀 협의"
△ 외교부_조준혁_대변인_3.jpg

(서울=포커스뉴스) 외교부는 12일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집단탈북과 관련해서 유관부서간 사전·사후 긴밀한 협력·협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준혁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탈북민이 한국행을 희망할 경우 인도주의원칙 하에서 한국으로 올 수 있도록 관련국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으며, 탈북민의 안전 이송을 위해서도 최선의 노력을 다 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이 건에 대해서 중국 정부와 어떤 협력을 했는지'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자 조 대변인은 "구체사항에 대해서는 언급을 자제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생각"이라며 "다만 관련국들과의 협의, 협조에는 현재까지 전혀 문제가 없음을 말씀드린다"며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

한편 일본에서 G7 외교장관회의 계기로 캐리 미 국무장관이 '북한이 비핵화 시 대화할 수 있다'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조준혁 대변인은 "한·미 양국은 북한과의 그 어떠한 대화에 있어서도 '비핵화'가 최우선이라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면서 "캐리 장관도 이 같은 공통된 입장에 기초해 언급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미 양국은 현시점에서는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단합된 의지를 바탕으로 안보리 제재 결의의 철저한 이행 등 강력한 대북 압박을 지속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확고한 인식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수차에 걸친 GPS 교란행위에 대해 조 대변인은 "정부는 지난 4일 ITU, ICAO, INO 등 관련 국제전문기구에 북한의 GPS 교란행위가 명백한 도발일 뿐 아니라 민간항공기 그리고 선박의 안전 운항에 위험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임을 제기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또한 뉴욕 시간으로 5일 주유엔대사 명의의 안보리 의장 앞 서한을 통해서도 이 문제를 제기했다"면서 "북한의 GPS 교란행위가 정전협정 위반일 뿐 아니라 한반도 안보를 위협하는 것을 규탄하고, 북한이 GPS 교란행위를 즉각 중단해 줄 것과 우리의 서한을 안보리 공식문서로 회람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유엔 차원에서 주의를 환기시켜 줄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조 대변인은 "유엔이 5일 자로 이 문서를 공식문서로 회람시켰다"고 덧붙인 뒤 "정부로서는 이러한 GPS 교란행위가 우리 안보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사항임을 중시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와 함께 이것을 중단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이 앙골라에 군관을 추가 파견하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는 일부보도에 대해 조준혁 대변인은 "원론적으로 정부는 북한의 대외적인 군사, 경찰 협력활동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관련 보도를 주시하고 있고, 우선 사실관계를 파악한 후 안보리 결의 이행에 필요한 조치를 관련국과 협의해서 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조준혁 대변인은 12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집단탈북과 관련해서 유관부서간 사전·사후 긴밀한 협력·협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포커스뉴스DB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