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물량 인도 시점까지 불확실성 남아 <br />
연간 매출액과 건조물량을 각 사별로 10조원 이하로 줄여야
(서울=포커스뉴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이 지난해까지 해양플랜트 부문에서 대규모 손실을 입은 후 점차 회복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해양플랜트의 주요 발주처들이 어려운 상황에 빠져 있어 수주물량의 인도 시점까지 안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저유가로 추가 발주 시장도 얼어붙었다.
31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해양 시추설비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부터 현재까지 4기가 취소됐다. 또 14기는 인도 일정상 1년에서 2년 정도 연기됐다. 게다가 최근에는 발주처의 설비 용선 계약이 취소되고 있고 주요 발주처의 신용등급이 거의 부도수준 직전까지 급격하게 하락한 상태다.
유가와 발주처의 재무상태가 개선되지 못하고 해양 설비 시장의 수요가 위축될 경우 대금을 받지 못한 미청구공사가 대규모 손실로 바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한신평의 진단이다.
해양 생산설비도 공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계약 취소 및 변경될 수 있다. 설계 변경, 공정 재작업, 기자재 조달 등에서 불확실성이 가시지 않고 있다. 이는 추가 원가 투입까지 초래할 수 있는 문제다.
이에 따라 한신평은 조선 3사에 과감한 다운사이징을 요구했다. 그렇지 않으면 고정비 부담이 늘어 신용위험이 증가한다는 지적했다. 다운사이징을 통해 매출액 및 건조물량을 현재의 연간 40조원 수준에서 각 사별로 연간 10조원 이하로 줄일 필요가 있다고 한신평은 진단했다.
한신평은 "현대중공업의 경우 조선 및 해양 부문에서의 사업경쟁력과 이익창출 기반, 재무구조 정상화 가능성, 구조조정 효과 등을 중점적으로 볼 예정이고 대우조선해양은 영업과 재무 개선 외에 채권단의 지원 범위를 넘어서는 유동성 부담이 제기될지를 보겠다"고 밝혔다.
한신평은 "삼성중공업 경우 해양플랜트 부문에서 차별화된 수주기반과 자체적인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확보할 수 있는지가 신용도에 중요하다"고 덧붙였다.<출처=한신평>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