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연초 전망치 3%를 밑돌 것이라고 진단했다.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앞으로 통화정책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지난 3월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입장에서 특별히 바뀐 것은 없다"며 금리인하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저성장 저물가 현상이 이어지면서 경기 활성화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정책을 실시하라는 요구가 그간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며 "특히 통화정책과 관련해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양적완화 정책이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시행하는 것을 보면서 한국은행도 완화기조를 과감하게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행은 우리의 경제상황이 여러 가지 면에서 이들 선진국과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정책을 운영해 왔다"며 "먼저 우리 경제의 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이들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경제상황에 부합되는 기준금리 수준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표면적으로 통화정책의 완화정도가 덜하다고 해서 우리의 통화정책이 경제의 회복세를 제약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다"며 "우리나라는 기축통화인 이들 국가와는 달리 정책기조 완화에 따르는 자본유출 위험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지난 1, 2월처럼 국제금융시장이 매우 불안할 때는 더더욱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내외 금융·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가면서 경기회복세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가겠으며 그 과정에서 금융안정에도 유의하겠다는 것"이라며 "지난 1~2월 해외경제 여건이나 국내 경제지표들이 연초에 예상했던 것보다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지만 최근 들어서는 국제유가가 반등하고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이 다소 진정되었고 주요국의 통화정책기조는 추가로 완화되는 등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1분기 성장률이나 향후 경기와 물가 흐름이 어떨지에 대해서는 좀 더 면밀히 짚어봐야 하며 그 결과는 다음 달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말씀드리도록 하겠다"며 "최근 대내외 여건을 고려해 볼 때 올해 성장률은 연초 전망했던 3%를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