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현재와 2050년 모두 세계 1위
(서울=포커스뉴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2050년에 세계에서 두번째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인구조사국이 28일(현지시간) 노후화 세계(An Aging World: 2015)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에서 65세 이상 인구는 2015년 6억명에서 2050년 16억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세계 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해 8.5%에서 2050년 16.7%까지 올라간다.
보고서는 일본이 현재 세계에서 가장 노인인구가 많은 국가라며 2050년에도 1위를 유지할 것으로 봤다. 지난해 기준 일본의 노인비율(26.6%)은 2050년에 40.1%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기준 13.0%로 낮았지만 이후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돼 2050년엔 이 비율이 35.9%로 세계에서 2번째에 위치할 것으로 예측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노인 비율이 7%에서 21%까지 단 27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다.
홍콩과 대만도 2050년에 노인인구 비율이 3위, 4위까지 올라갈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해 기준 노인인구 비율은 일본에 이어 독일, 이탈리아, 그리스 순이었다.
미국의 노인인구는 지난해 14.9%에서 2050년 22.1%로 늘어나겠지만 다른 국가에 비해 완만한 속도를 보일 것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대륙별로 보면 아시아에서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됐다. 아시아(7.9%→18.8%)는 두 배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상승하고 유럽(17.4%→27.8%), 북미(15.1%→21.4%)도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아프리카(3.5%→6.7%)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한편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15년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5062만명으로 2030년 5216만명에 달한 후 차츰 감소하기 시작한다. 2015년 65세 이상 인구비율도 2015년 13.1%에서 2030년 24.3%, 2040년 32.3%, 2060년 40.1%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생산가능인구 100명에 대한 65세 이상 인구도 2015년 17.9명에서 2060년 80.6명이 돼 4배 이상 증가해 노년층 부양 문제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노인인권단체 헬프에이지인터내셔널이 노인들의 생활 수준을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스위스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96개국 중 60위로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2015.09.09 ⓒ게티이미지/이매진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