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념사 하는 박원순 |
(서울=포커스뉴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8개 글로벌 기업과 KT, 네이버, 다음카카오 등 7개 국내기업이 서울시에 공동 프로젝트를 제안하며 관련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모인다.
서울시는 30일 용산구 서울파트너스하우스에서 박원순 서울시장과 국내·외 기업대표 15인이 참석하는 '서울디지털서밋 2016'을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서울시가 2월 발표한 디지털정책 5개년의 로드맵인 '서울 디지털기본계획 2020'의 하나로 추진됐다.
해외기업으로는 아마존과 시스코, 휴렛팩커드, 인텔, 오라클, 제트티이(ZTE), 화웨이,마이크로소프트가 참석하고, 국내기업은 KT, 네이버, 다음카카오, 우리은행,인터파크, 안랩, 한글과컴퓨터가 참석한다.
주요 제안 협력사업은 △서울전역 사물인터넷 리빙랩 및 사물인터넷 인큐베이션센터 연계협력 △사물인터넷·핀테크 등 국내 스타트업 기업 지원·교육 △공공데이터 개방 협력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스마트 파킹·자전거·관광 서비스 △디지털기반의 소상공인 판로지원 등이다.
서울시는 이번 회의를 통해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기업들과 협력관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협력·제안사업에 대해서는 서울시 소관부서의 정책방향과 시기 등을 검토해 추진하고, 시장 주재 디지털 정책 조정회의를 통해 추진상황을 관련 부서와 공유해 구체화시킬 방침이다.
박 시장은 "앞으로의 서울시 디지털 정책방향은 관이 아닌 시민·민간 주도의 디지털 거버넌스가 핵심"이라며 "서울이 글로벌 디지털 기업들과의 협력관계를 밑거름으로 세계 디지털 수도로 커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박원순 서울시장. 2016.03.22 양지웅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