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위한 교육제도 혁신 강조
(서울=포커스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경제정책이 추구해야 하는 지향점을 고용 안정으로 꼽았다. 또 4차 산업 시대를 대비한 교육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촉구했다.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이주열 총재는 "어제 대학 강연을 가니 어린 학생들이 일자리에 관심이 많다"며 "취업자수 증가폭이 줄고 청년실업률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고용이 어려운 게 사실이나 2월 통계에는 설연휴시기 이동, 공무원 시험이 있어 이런 영향도 받았다"며 "고용통계에 언론이 유독 관심이 많은데 고용안정이라는 게 개인과 가정, 기업 등 경제 주체들의 후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정책의 궁극적 목적은 개인의 풍요롭고 안정된 삶의 확보다"라며 "미국 연준 등 중앙은행 중에서는 고용안정을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목표로 정해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알파고같이 4차 산업혁명이 빠른 진전을 보이고 있는데 이것이 앞으로 일자리에 어떻게 이용될지 언론 보도도 부쩍 늘었다"며 "현존하는 직업 절반이 10~20년 내 사라질 것이라는 연구보고가 있는가 하면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가 알지 못하는 새 직업이 나타나면서 현재 유망 지업 중 상당수가 쇠퇴하고 관련 지식 유용성도 크게 약화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기술변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른 만큼 빨리 미래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준비를 해나가야 한다"며 "이를 위해 우리 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시스템 변혁이 필요하며 특히 무엇보다 교육제도가 획기적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에 상당히 공감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현재 교육체계는 현존하는 직업군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을 단순히 전달하는 방식이라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키우는데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 우리 교육제도는 어떤 환경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는 창조적 사고능력을 키워 새 직업을 스스로 발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방향으로 개편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