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리콜계획 부실논란 재점화…환경부 "임의조작 명시해라" 퇴짜

편집부 / 2016-03-23 15:59:00
리콜대상차량 임의조작 명시 안해…소프트웨어도 미제출<br />
핵심보완사항 없다면 리콜 계획 자체 무효화
△ 환경부 찾은 타머 사장과 독일 폭스바겐 본사직원

(서울=포커스뉴스) 디젤차량 배출가스 저감 장치 조작과 관련해 폭스바겐이 제출한 리콜 계획이 다시 반려됐다.

환경부는 23일 폭스바겐 측이 제출한 리콜계획(결함시정계획)을 보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완 요구는 폭스바겐 측에서 리콜 대상차량에 임의조작(Defeat Device)을 했다는 사항을 명시하지 않았고, 리콜차량을 고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폭스바겐 본사에서 아직 완성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제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행됐다.

환경부는 폭스바겐 측에 리콜계획을 보완 요구하면서, 이들 두 가지 핵심 보완사항이 없는 상태로 리콜계획을 다시 제출할 경우에는 리콜계획 자체를 불승인(반려)할 계획이라는 방침도 함께 전달했다.

리콜계획 불승인은 리콜계획 보완과 달리 리콜계획 자체를 무효화하는 것으로서, 이럴 경우 폭스바겐 측은 리콜절차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다만, 임의조작으로 적발된 15개 전 차종의 리콜 소프트웨어를 모두 완성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일부 차종에 대해 소프트웨어를 우선적으로 완성하고 순차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제출하는 것은 가능토록 했다.

환경부는 소프트웨어를 제출받는 순서에 따라 리콜 대상차량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개선 전과 후의 대기오염 배출량과 연비의 변화를 측정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지난해 11월23일 폭스바겐 15차종 12만5500대가 임의조작을 했다고 판단해 올 1월6일까지 리콜계획서를 제출토록 명령했다.

이에 대해 폭스바겐 측은 올해 1월4일 결함시정계획서를 제출했으나, 폭스바겐 측이 결함원인을 단 두 줄로 적시하는 등 결함시정계획서가 극히 부실하게 제출해 1월14일 리콜계획을 1차 보완 조치했다.

이어 폭스바겐 측에서 지난 3일 보완 제출한 계획서에 대해서는 핵심사항이 없다고 판단해 2차로 리콜계획을 보완 조치했다.

앞으로 환경부는 폭스바겐 측으로부터 결함시정계획을 다시 제출받을 경우, 이러한 핵심 보완사항이 빠지면 리콜계획을 반려(불승인)할 계획이며, 핵심사항이 포함되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연비 변화에 대한 실험절차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 들여온 폭스바겐 15차종은 독일을 포함한 전세계 어느 나라로부터도 리콜계획을 승인받지 못한 상태이며, 국내에 들여오지 않은 폭스바겐 Amarok 1개 차종이 올 1월 독일 정부로부터 리콜계획을 승인받아 리콜 절차를 진행 중이다.(세종=포커스뉴스) 요하네스 타머(가운데)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사장과 프리드리히 요한 아이히러(왼쪽) 독일 폭스바겐 파워트레인 총괄책임자 등 독일본사 직원들이 19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교통환경과에서 결함시정 관련 기술적 내용을 설명하고 환경부를 나서고 있다. 환경부는 결함시정계획서의 핵심내용을 제출하지 않은 요하네스 타머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사장을 오후 서울지방지검에 형사 고발할 계획이다. 2016.01.19 김기태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