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창원시의 국제 비즈니스 도시 조성 계획과는 큰 차이…부영 29일까지 회신해야
(서울=포커스뉴스) 경남 창원시가 마산해양신도시 개발사업에 단독 응모한 부영주택의 사업계획 심의를 보류했다.
부영 측이 시의 구상과 맞지 않는 대규모 아파트 건립 위주의 개발계획을 내놨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창원시는 지난 18일 관련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심의위원회를 열고, 부영이 제출한 사업제안서 심의를 연기하기로 했다.
또 창원시는 지난 21일 아파트 및 오피스텔 등 준주거용지 면적을 대폭 축소한 계획안을 부영 측에 보냈고, 오는 29일까지 의견을 수렴해 내달 초 2차 선정심의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부영이 제출한 사업계획에는 마산해양신도시 전체 사업면적 64만2000㎡ 중 무려 36%에 해당하는 23만3000㎡가 준주거지역으로 활용되고, 18~65층, 23개동, 총 3928가구 규모의 아파트가 건축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 곳에는 판매시설·사무실·오피스텔 용도로 35~88층, 6개동, 총 1863실 규모의 건물 건립도 계획돼있다. 상업·업무 용지는 5만2000㎡로 8%에 달한다.
반면 녹지공원 부지는 16만㎡로 25%에 불과하다. 또 문화시설은 전체 9% 수준인 5만8000㎡ 부지에 미술관과 콘서트홀이 들어서는 것이 전부이다.
총 5800가구에 가까운 주거·상업시설이 전체 면적의 44%에 들어서는 반면, 녹지 및 문화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편이다.
이는 창원시가 당초 마산해양신도시를 관광·문화·비즈니스가 복합적으로 연계된 국제 비즈니스 핵심도시로 만든다는 계획 및 취지와는 크게 어긋나는 것이다.
이에 창원시는 부영 측에 공공 기능을 강화한 개발계획을 다시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창원시가 제시한 사항은 ▲아파트 건립 일부 구역으로 세계적인 공원 조성 ▲주거시설 내 문화·관광 요소 협의 ▲상업시설 및 오피스텔 축소 ▲해안변 녹지축 확대 ▲아트센터 건립 후 기부채납 등이다.
이렇게 되면 신도시 전체 15%(9만4000㎡)는 아파트, 상업·업무 용지는 8%(5만2000㎡)로 종전보다 축소되고, 녹지공원 부지는 47%로 두 배가량 늘게 된다.
이에 대한 부영 측의 회신 기한은 오는 29일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시는 마산해양신도시를 친환경적이고 창의적인 방향으로 관광·비즈니스 복합 개발을 추진코자 하는데, 부영측이 제시한 계획안은 너무 주거시설 조성에만 편중돼 있어 부득이하게 심의를 연기했다"고 말했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 관계자는 "부영의 사업계획은 해양신도시 개발이 아닌 택지지구 조성으로 비춰질 만큼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수익성 극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다"며 "창원시가 향후 29일 부영의 회신을 받고 판단하겠지만, 당초의 신도시 조성 계획에 어긋나지 않도록 사업제안서를 꼼꼼하게 검토하고, 다양한 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