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해.jpg |
(서울=포커스뉴스) 우리나라 지능정보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데이터 확보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며, 소프트웨어(SW) 전문인력의 양성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지능정보산업 발전전략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후속조치 논의’을 주제로 ‘제7차 정보통신기술(ICT) 정책 해우소’를 개최했다.
이번 정책해우소에서는 △지능정보산업 발전 전략 △국내 기업의 지능정보기술 현황 △지능정보기술을 통한 사회의 변화 방향 등에 발제하고 토의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미래부는 지능정보기술 발전 전략에서는 민간 주도로 ‘지능정보기술연구소’를 설립해 정부는 연구비 지원 등을 통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내 기업의 지능정보기술 현황에서는 글로벌 기업간의 지능정보 서비스 플랫폼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 역시 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화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능정보기술을 통한 사회의 변화 방향에서는 인공지능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며, 인공지능을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내용이 제시됐다.
해우소에 참석한 관련 기업들은 “지능정보 제품,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핵심 공통기술 개발 및 양질의 데이터 확보가 중요하고, 이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학계 및 관련 기관 전문가들은 “선진국과 기술격차를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SW 전문 인력 양성이 가장 시급하다”고 언급했다.
최재유 2차관은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국은 지능정보기술의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보여줬다”며 “ICT 강국이자 훌륭한 문화콘텐츠를 갖춘 강점을 발전시킨다면 현재 진행되는 4차 산업혁명을 앞서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최재유 미래부 차관(왼쪽에서 두번째)가 제7차 정책 해우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미래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