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합동 군사훈련이 자국 안보 저해”<br />
과거에도 의제 상정 요구했으나 거부 당해
![]() |
△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Debates The Escalating Situation With Russia And Ukraine |
(서울=포커스뉴스) 북한이 한미 합동 군사훈련으로 인해 자국 안보가 저해된다며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소집을 요구했다.
이 사실은 미 CNN이 자성남 유엔주재북한대사가 유엔안보리 의장에게 보낸 편지 내용을 입수해 보도하면서 드러났다. 자 대사는 “한국군과 미군의 사상 최대 합동군사 훈련이 북한의 안보를 저해한다”며 “이 문제를 유엔안보리 의제로 상정해달라”고 촉구했다.
자 대사가 보낸 편지의 수신인은 이스마엘 가스파르 마르틴스 유엔 안보리 의장이다. 자 대사는 마르틴스 의장에게 “한미 연합훈련이 '참수작전'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있으며 북한 최고지도자인 김정은 제거가 목표이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근간을 흔든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앞서 북한은 한미 합동군사훈련 문제를 안보리 의제로 상정해달라는 요구를 수차례 해왔으나 성사된 적은 없다. 지난 2014년 8월에는 유엔안보리 의장이 나서서 회의 소집을 지지하는 나라가 없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북한은 이번 달 초부터 진행된 한미 연합훈련 키리졸브와 독수리연습에 대한 우려를 표명해왔다. 한미 양국이 훈련을 감행할 경우 핵 타격을 하겠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이번 한미 연합훈련은 4월 30일까지 연인원 한국군 30만 명, 미군 1만7000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전쟁연습'이다. 육·해·공군은 물론 특수부대까지 참여하게 된다. 이번 훈련은 북한의 핵·미사일 사용 움직임을 포착하면 선제 타격하는 작전계획 5015를 적용해 진행되고 있다.
북한은 오랜 동맹국인 중국을 포함해 안전보장이사회 상임·비상임 이사국들이 이 문제를 놓고 논의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올해 초 북한의 핵 실험과 두 차례 로켓 발사로 인해 국제사회 여론은 좋지 않은 실정이다.
유엔안보리는 지난 2일 대북제재 결의 2270호를 통과시켰다. 과거 대북제재보다 강도 높은 유엔 결의안에 이어 16일 오바마 행정부가 독자적인 대북 제재안을 발표하면서 북한은 더 곤란해진 상태다.유엔안전보장이사회 회의 장면이다. 자성남 유엔주재북한대사는 3월 유엔안보리 의장국인 앙골라의 마르틴스 의장에게 한미 연합훈련을 안보리 의제로 상정해달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Photo by Andrew Burton/Getty Images)2016.03.17 ⓒ게티이미지/멀티비츠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