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청구공사 규모 및 준공시점 원가율 상승 검토해 신용도에 반영
(서울=포커스뉴스) 수주산업인 건설업에 대한 회계처리가 보다 보수적으로 변경될 경우 잠재손실이 일시에 현실화되면서 건설업계가 대규모 손실을 나타낼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기업평가는 16일 ‘이슈리포트 : 건설업, 대규모 손실 재현될 것인가’란 보고서에서 “준공시점의 원가율 상승이 개별 건설업체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이전보다 회계처리가 보수적인 방향으로 바뀌어 준공시점에 원가율이 높아지는 관행이 사라지면 전체 건설업계가 과거와 같은 대규모 손실을 재현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미청구공사 규모가 손실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선행지표로 여겨지고 있다. 미청구공사는 공사원가가 투입됐으나 발주처에 청구하지 못한 금액이다.
그러나 미청구공사의 경우 정상적으로 사업이 진행되는 상황에서도 건설업체와 발주처 간의 공사 진행률 인식 차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것만으로 실적 방향성을 예측할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게 한기평의 진단이다.
따라서 한기평은 준공시점의 원가율 변동을 관심 깊게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업초기에 예정원가가 충분히 설정되지 않고 추가 손익 변동에 대한 반영이 즉각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일한 것보다 더 많은 돈을 지급하는 과기성이 발생하게 되고 준공 임박 시점에 원가율이 급격하게 올라간다. 이는 건설업체 손익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
한기평은 자료 취합이 가능한 16개 건설업체의 원가율을 분석한 결과 준공시점에 원가율이 대부분 상승하는 추세였다고 전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진행공사의 추정 과기성 규모는 약 9500억원으로 이를 일시에 손실로 처리하면 2014년 매출액 기준으로 2.3%의 원가율 상승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계산됐다.
특히 원가율 상승폭과 미청구공사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2~3개 업체는 대규모 손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수적인 회계처리가 요구되는 회계제도 변경을 고려할 때 과거와 같은 대규모 손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한기평의 판단이다.
한기평은 “지난해 잠정실적을 검토한 결과 강화된 회계기준에 따라 일부 업체는 손실을 반영했다”며 “변경된 회계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올해 이후 준공시점에 원가율이 상승하는 현재의 관행이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대규모 손실이 재현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기평은 “원가율 변동을 중심으로 업체별 회계정책에 대한 재검토를 실시할 것”이라며 “미청구공사의 절대 규모 및 추이, 사업장별 원가율 추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신용등급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출처=한기평>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