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망.jpg |
(서울=포커스뉴스) SK텔레콤이 미래부의 IoT 신산업 활성화 관련 정책 발표를 계기로 IoT 전용 전국망 구축, IoT 통합 관제센터 구축 등을 포함한 ‘IoT 토탈 케어 프로그램’을 16일 발표했다.
SK텔레콤은 IoT 전용 전국망을 세계 최초로 연내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빠른 속도를 보장하지만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기존의 네트워크와는 달리, 저용량·저전력이라는 특성의 기술(LPWA)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다양한 미래 IoT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IoT 유망 벤처와 스타트업을 발굴, 육성해 IoT 서비스 주체로 나설 수 있도록 ‘IoT서비스 활성화 지원 펀드’를 조성할 방침이다. 고객에게 월정액을 받는 비즈니스 모델만으로는 운영되기 어려운 IoT 서비스의 특성에 착안했다.
더불어 단순한 월정액 방식의 모델을 넘어서는 다양한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을 벤처 및 스타트업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통신사업자는 고객이 아닌 디바이스 제조사나 서비스 제공 업체 등 소위 ‘공급자’에게 사용료를 받는 구조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SK텔레콤은 이외에도 IoT 토탈 케어(Total Care) 프로그램 내용에 △IoT 통합 관제센터 개설 △IoT 단말기에 탑재하는 전용 모듈 개발·공급 △개방형 IoT 플랫폼인 ‘씽플러그(ThingPlug)’의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해 추진할 계획이다. 토탈 케어 프로그램을 위해 SK텔레콤은 1차 계획상으로만 2년간 1000억원이 넘는 수준의 직접 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IoT전용 전국망 위에 다양한 벤처와 스타트업이 서비스의 주체로 등장하고 여기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결합되면서 소비자들은 IoT를 제대로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또 벤처 및 스타트업체들의 적극적 참여와 경쟁이 이루어질 경우, 각종 검침, 드론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기기의 위치 통제, 귀중품에 대한 위치추적, 미아 방지 등 실생활 전반에 걸친 기발한 서비스들이 쏟아져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형희 SK텔레콤 사업총괄은 “국내 벤처와 스타트업이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는 놀이터를 제공한다는 데 이번 프로그램의 의의가 있다”며 “결국 기존 패러다임을 뛰어 넘는 이러한 새로운 접근 방식들이 IoT 기반 융복합 신산업 개척에 일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IoT 전용망 구성도.<그림제공=미래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