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투명한 중고폰 거래시장 운영을 위해 한국중고통신사업자협회(KUMA) 설립을 추진 중이다. 협회는 중고폰 허브를 개설해 중고폰 유통과정을 관리하고 중고폰 표준가를 알리는 역할을 할 전망이다.
15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올 상반기 한국중고통신사업자협회(KUMA)를 설립하고 오는 2018년 2월 중고폰 허브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연간 3조원에 달하는 중고폰 시장에 대한 정책 및 제도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전체 중고폰 시장 규모와 유통관련 통계 역시 부실하다는 비판도 나왔다. 특히 정보가 제대로 삭제되지 않은 스마트폰과 분실폰이 해외로 대량 유출되는 일이 잦아 사회문제로도 떠올랐다.
이번에 설립되는 KUMA는 중고폰 정책과 제도를 개선하고, 해외로 유출되는 음성적인 중고폰 시장을 양성화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궁극적으로는 중고폰 수출 확대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가계 통신비 부담 해소 정책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다.
KUMA의 주요 사업으로는 △국내 중고통신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도 개선 △국내외 중고통신 유통 관련 정책·제도 개선 △국내외 시장 동향 조사와 중고통신 단말 표준가 고시 △중고통신 단말 유통관련된 정부 수탁 사업 등이다.
중고폰 허브 구축과 운영은 우정사업본부가 맡는다. 이후에는 현재 알뜰폰 판매 활성화를 위해 운영되고 있는 알뜰폰 허브와 연동 협력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정부관계자는 “중고폰 협회 설립으로 가계 통신비 절감, 단말기 완전 자급제 실현 등의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된다”며 “협회 회원사의 예상매출은 6억2200만원 정도”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