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나무 많이 심으면 생태면적률 인센티브

편집부 / 2016-03-11 10:40:41
생태면적률 기준 규제로 인식 개선 요구에 기준 개선 나서
△ 2._인공지반녹지_.jpg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는 환경친화적인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생태면적률(자연순환기능 지표)에 나무를 많이 심을수록 인센티브를 더 줄 방침이라고 11일 밝혔다.

서울시는 지금까지는 없었던 수목 식재부분에 대한 점수를 전체 생태면적률 확보비율의 최대 20%까지 더 줄 계획이다.

생태면적률은 개발대상지의 면적 중 자연순환 기능을 가진 면적비율을 수치화 한 것으로 자연지반 및 인공지반녹지, 수공간, 벽면 및 옥상 녹화, 투수성 보도블록 등이 대상에 해당된다.

생태면적률 공간유형별로 부여되는 점수를 합산해 일정 기준이 넘어야 건축이 가능하다.

서울시는 일부 지역에서 생태면적률 기준이 규제로 인식돼 현실에 맞게 개선돼야 한다는 요구가 있어 기준 개선에 나섰다.

서울시는 △대상지에 계획된 수목의 규모 및 수량에 따라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체적개념의 식재유형 도입 △생태면적률 공간유형 및 가중치 인정기준 현실화 등을 통해 기준을 개선한다.

식재유형은 바닥면의 면적으로만 계산했던 기존 생태면적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롭게 도입됐다.

이전까지 100㎡의 생태면적률이 필요한 경우 100㎡를 바닥면적만으로 채워야 했다면 앞으로는 녹지를 조성하는 수목의 규모와 수량 등을 바닥면적으로 환산하는 기준에 따라 계산‧평가하게 된다.

또 인공지반녹지, 옥상녹화, 벽면녹화 등 공간 유형에 대한 적용사례 분석을 통해 가중치와 인정기준을 현실적으로 개선했다.

서울시는 지난 2004년 무분별한 포장을 억제하고 도심의 녹지를 확보하기 위해 생태면적률 제도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개발 전 사업계획 수립 시 건축 유형에 따라 그 비율을 다르게 적용해 생태면적률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한유석 서울시 시설계획과장은 "생태면적률은 과밀개발로 인한 도시열섬화현상과 도시홍수 등 도시기후 변화와 도시 내 생물서식공간의 오염과 파괴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며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환경기준을 만들고 환경 또는 건축분야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상호 조화를 이루면서도 생태적 기능이 확보되도록 친환경 생태도시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사진제공=서울시청>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