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가을 자전거 |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가 어린이‧청소년‧어르신 등에 대한 자전거 안전교육을 대폭 확대해 시행한다.
아울러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주고 있는 '어린이 자전거 인증(면허)제'를 국가공인제로 전환할 것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10일 '대상별 맞춤형 자전거 안전교육 확대계획'을 추진해 올바른 자전거 이용문화를 정착시키고 자전거 안전사고를 예방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실시하는 '찾아가는 자전거 안전교육'을 초‧중‧고 100개 학교, 학생 1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이는 지난해 70개 학교, 66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던 것보다 늘어난 수치다.
또 미취학아동과 어르신을 위해서 운영되는 '찾아가는 자전거 교실'도 어린이집, 복지관 등 100개소 교육을 목표로 신청을 받는 중이다.
서울시는 지난 5년간 발생한 자전거 사고 10건 중 8건이 자동차와 자전거 간 사고인 것을 고려해 버스‧화물차‧택시 기사를 대상으로 한 자전거 안전교육도 실시한다.
이전까진 버스기사만 의무적으로 정기 자전거 관련교육을 받았다.
서울시는 지난 2010년부터 필기시험과 기능‧주행시험에 합격한 어린이에게 자체적으로 주고 있는 '어린이 자전거 인증(면허)제'도 국가 인증제로 전환할 것을 정부에 건의하는 등 '어린이 자전거 인증(면허)제'에 대한 공신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해나갈 예정이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월 행정자치부와 경찰청에 '어린이 자전거 인증(면허)제'의 국가 공인제 전환을 건의했다.
'어린이 자전거 인증(면허)제'는 어린 시절부터 안전하게 자전거를 타는 습관을 기르기 위해 시작됐으며 지난해까지 2만8000명이 응시해 평균 65%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
이방일 보행자전거과장은 "자전거 이용과 함께 안전사고도 늘고 있어 서울시 차원의 맞춤형 자전거 안전교육을 확대하게 됐다"며 "실효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해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양지웅 기자2015.11.23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