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취재진 질문 답하는 이인찬 |
(서울=포커스뉴스) SK브로드밴드와 CJ헬로비전 합병법인이 국내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해 향후 1년간 총 3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운영한다.
SK브로드밴드는 8일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합병법인은 이를 위해 1500억원을 출자하고 1700억원은 투자 유치를 통해 조달할 계획이다. 조성된 펀드는 콘텐츠 제작에 2200억원을 투자하고 관련 스타트업(Strat-up) 활성화에 1000억원을 지원한다. 1800억원을 재투자해 향후 5년간 총 5000억원 규모를 콘텐츠 산업 생태계에 투자할 계획이다.
콘텐츠 제작 예산 2200억원 중 1200억원은 글로벌 한류 드라마 및 사회,환경,교육,문화 관련 명작 다큐멘터리 등 주문형비디오(VoD)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지원할 방침이다. 600억원은 융복합 콘텐츠 펀드를 조성해 1인 창작자(MCN) 및 신기술 기반의 뉴미디어 콘텐츠에 적극 투자하고, 400억원은 글로벌 콘텐츠 펀드를 조성해 국내 제작사들의 해외 진출 기회를 제공한다.
합병법인은 제작사 및 창투사 대상으로 콘텐츠 펀드 설명회를 거쳐 펀드 운용사를 선정하고 오는 7월부터 펀드 운영에 본격 들어갈 예정이다.
합병법인은 조성된 펀드를 토대로 전편을 VoD 사전 제작해 유료 플랫폼에서 동시 개봉하는 새로운 시도를 한다. 가입자 기반을 토대로 VoD 퍼스트 서비스라는 새로운 콘텐츠 유통 경로를 마련하고 시즌제 등 새로운 포맷의 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인찬 SK브로드밴드 사장은 “이를 통해 한국판 ‘하우스 오브 카드(House of Card)’와 같은 성공 스토리를 만들어 역동적인 콘텐츠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SK브로드밴드와 CJ헬로비전은 보다 많은 고객의 관심과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콘텐츠의 종류를 획기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기존 인기 TV 프로그램과 최신 영화 중심의 VoD 콘텐츠 운용에서, 영화 구작 라이브러리, 교육 및 다큐멘터리, 키즈·애니메이션, 다양한 지역 및 문화 예술 콘텐츠까지, 콘텐츠의 범위와 종류를 크게 확대할 계획이다.
이 사장은 “빅 데이터 기술역량을 활용해 다양한 콘텐츠 제작을 적극 지원하고 미디어 콘텐츠 소비에 부응하는 플랫폼 운영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볼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합병법인은 합병 후 1년 간 조성된 콘텐츠 펀드를 집중 투자함으로써 국내 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 기업이 동반 성장하는 전환점을 마련토록 할 방침이다. 또 우수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확대를 통해 소모적인 가입자 유치 경쟁에서 벗어나 플랫폼간 차별화된 콘텐츠 경쟁으로 고객 만족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이 사장은 “이번 펀드가 향후 국내 콘텐츠 산업 발전과 성장을 위한 촉매제가 될 수 있도록 단기 내에 대규모 투자를 하기로 결정했다”며 “타 미디어 플랫폼으로 확산되면 경쟁구도의 긍정적 변화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합병법인은 이번 펀드를 통해 제작된 콘텐츠는 국내 유료 플랫폼 및 인터넷 기반 동영상서비스(OTT) 뿐만 아니라 글로벌 유료 플랫폼에도 공급할 계획이다.(서울=포커스뉴스) 2일 오후 서울 중구 SK T타워에서 열린 'SK텔레콤-CJ헬로비전' 인수합병 설명회에 참석한 이인찬 SK브로드밴드 대표가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5.12.02 양지웅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