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png |
(서울=포커스뉴스) 문화재청이 지난해 지역 문화유산 활용 사업인 '생생문화재','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 만들기'를 시행한 결과 경제적 파급효과가 약 23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생문화재'와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 사업은 문화재에 담긴 가치와 의미를 교육·문화·관광 콘텐츠로 적극 개발·활용해 사회·문화·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프로그램형 지역 만들기 사업이다. 지난해에는 총 610개 프로그램을 5645회 운영해 28만6000여명이 참여한 문화재청의 대표적인 지역 문화재 활용사업이다.
두 사업의 모니터링을 통해 경제적 편익을 추정한 결과 외지인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당해 지역을 방문하면서 유발되는 관광소비 발생액이 약 37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재 체험·교육비 절감액 약 130억 원, 프로그램 운영인력의 취업훈련비 절감액 약 119억 원 등 총 292억원에 달하는 편익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숙박업, 문화예술공연, 인쇄복제업, 도소매업, 식음료업, 차량임대업 등 6개 업종에서 총 231억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생산 파급효과 154억원, 부가가치 파급효과 77억원)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한국철도공사와의 협업으로 올해부터 본격 시행될 '지역 문화유산 관광열차' 시범 사업을 통해 지역 문화유산 활용사업을 진정한 문화관광 상품으로 발돋움시킬 예정이다.
☞편익추정: 해당 공공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잉여의 증가분.'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 만들기 사업'을 시행중인 '청주 향교' 모습.<사진제공=문화재청>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