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스마트폰 출하 감소…모바일 D램 가격도 하락"
(서울=포커스뉴스) 지난해 4분기 반도체 모바일 D램(RAM)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업체의 점유율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2일 반도체 전자상거래사이트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한국 기업의 모바일 D램 매출 점유율은 84.3%에 달한다. 지난해 3분기 83.3%보다 1%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글로벌 1위인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전분기(56.9%)보다 1.3%포인트 늘어난 58.2%를 기록했다. 매출액은 26억1900만달러(약 3조2300억원)이다. 2위 SK하이닉스는 소폭(0.3%p) 감소해 점유율 26.1%, 매출액 11억7500만 달러(약)을 기록했다.
3위는 14.3%의 점유율을 갖고 있는 미국의 마이크론이며, 4,5위는 대만의 난야(Nanya)와 윈본드(Winbond)가 각각 0.7% 수준으로 뒤를 이었다.
전반적인 D램 시장이 대한 수요 부진과 공급 과잉으로 침체된 가운데, 모바일 D램은 보급형 스마트폰의 증가에 힘입어 선전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D램익스체인지는 올해 스마트폰 출하량이 줄어들면서 모바일 D램 시장 상황이 지난해보다 좋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 분기보다 16% 감소해 모바일 D램 가격도 7% 정도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2015년 4분기 국가별 모바일 D램 업체 점유율.<사진제공=D램익스체인지>2015년 4분기 모바일 D램 업체 매출 및 점유율.<사진제공=D램익스체인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