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3년 간 5G 시범 서비스 위한 시스템 개발에 협력키로
(서울=포커스뉴스) SK텔레콤과 KT는 이번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6에서 일본 NTT도코모·미국 버라이즌 등 등과 함께 22일 5G시범서비스 규격 연합체(5G Trial Specification Alliance, 이하 TSA)를 결성키로 했다.
TSA는 글로벌 통신사를 주축으로 통신 장비업체가 공동으로 △1단계 5G 공통 플랫폼 규격을 만들고 △2단계 5G 무선 접속 시험을 통해 규격 신뢰성을 확보해 나가면서 2018년까지 5G 시범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개발에 상호 협력키로 했다.
또 이번 TSA에서는 평창동계올림픽 5G시범서비스 대역으로 예상되는 6GHz 이상 주파수를 이용해 주파수 특성에 따른 효과 및 장단점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효율성 높은 글로벌 표준을 제정할 계획이다.
KT는 지난 15일 5G 평창동계올림픽 준비현황 기자간담회에서 이미 평창 5G 핵심규격을 확보했음을 공개했다. 이 규격이 TSA에서 논의될 시험 규격의 기본으로 제안되면서 한국이 5G 기술을 전 세계적으로 선도할 수 있는 강점을 갖게 됐다.
TSA 결성에 참여한 서창석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은 “TSA를 통해 5G 종주국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도 “글로벌 ICT 리더들과 차세대 네트워크 청사진을 공유하고 표준 마련 작업을 가속화해 글로벌 5G 표준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