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한번 발생하면 평생 후유증을 남기는 ‘뇌출혈’ 발생빈도는 연령이 증가할 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뇌출혈’의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뇌출혈’ 진료인원은 2010년 7만7027명에서 2014년 8만3511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2014년 뇌출혈 진료인원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 이상의 연령층이 전체 진료인원의 약 82.4%를 차지했다. 남성의 경우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78.4%를 차지했고, 여성의 경우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86.4%를 차지했다.
뇌출혈의 인구 10만명당 발생빈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70대 이상의 연령층의 뇌출혈 발생 빈도는 30대 이하 연령층 보다 34.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출혈은 말그대로 뇌실 또는 뇌실질 안에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뇌출혈은 원인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일어난다. 일반적인 고혈압성 뇌출혈은 의식저하, 마비 또는 언어장애등으로 나타나며,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뇌출혈인 경우는 극심한 두통으로 나타난다. 그 외에 여러 원인들에 의한 뇌출혈은 두통, 간질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뇌출혈은 나이에 따라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주로 나이든 사람에서 나타나는 뇌출혈은 고혈압, 뇌동맥류, 종양, 약물 등에 의한 경우가 많다. 비교적 젊은 사람들은 뇌동맥류, 혈관기형, 종양 등이 원인이다.
양국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뇌출혈은 한번 발생하면 많은 경우에서 후유증을 남기므로 예방이 중요하다”며 “이에 원인이 될 수 있는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음주, 심혈관질환등의 위험인자에 대한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평소 고혈압, 당뇨 등이 있었다면 꾸준히 약을 복용하고 운동으로 조절을 함은 물론 과도한 음주 등을 삼가고, 금연을 실천하면 많은 부분에서 예방이 가능하다”며 “자발성 뇌출혈(고혈압성 뇌출혈)은 평소 혈압조절이 매우 중요한 예방책이며, 그 외에 질환(종양 등)은 전조증상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몸에 이상신호가 있을 때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뇌출혈 발생빈도는 30대에 비해 70대 이상이 34.4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멀티비츠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