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손실에 등급 강등 위기'의 두산그룹, 돌파구는 있나

편집부 / 2016-02-11 15:07:05
일단 손실에 비해 재무악화 최소화…내부 구조조정도 마무리 국면 <br />
그러나 일부 자산 매각 불투명에 업황 회복도 난망
△ 2015-10-28_104331.jpg

(서울=포커스뉴스) 대규모 당기순손실에다 신용등급 강등 경고까지 받은 두산그룹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까. 재계와 시장에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많지만 크레디트 업계에서는 긍정과 부정이 다소 엇갈리고 있다.

두산그룹에 대한 긍정적인 진단은 우선 대규모 당기순손실에도 재무지표 악화가 최소화됐다는 점이다. 또, 손실의 주요인이 영업외 요인에서 비롯됐다고 볼 때 내부 구조조정 등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점은 다소나마 긍정적이다.

하지만, 근본적인 업황 회복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여기에 추가 자산매각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유동성 위기론이 다시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두산그룹 계열사 자료 등에 따르면 그룹의 지주회사인 ㈜두산은 연결기준 잠정결산 결과 지난해 18조9604억원의 매출액에 2646억원의 영업이익, 1조700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거뒀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014년 20조3124억원, 9979억원보다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332억원에서 크게 늘었다.

순손실 규모가 커진 데는 두산인프라코어(-8595억원)와 두산건설(-5207억원), 두산엔진(-1254억원)의 당기순손실 영향이 컸다. 두산중공업도 1조7509억원의 순손실을 입었다. 그러나 ㈜두산의 별도기준으로는 매출액 1조8736억원, 영업이익 2134억원, 당기순이익 1233억원으로 흑자 기조를 나타냈다.

또, ㈜두산의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276.0%, 순차입금의존도는 35.9%로 전년대비 각각 23.6%포인트, 1.6%포인트 상승했고. 두산중공업(부채비율 258.9%→288.0%, 순차입금의존도 35.3%→37.3%), 두산인프라코어(263.6%→266.8%, 43.3%→44.4%), 두산엔진(119.8%→144.7%, 13.9%→19.4%), 두산건설(161.5%→198.8%, 27.6%→30.7%)의 지표도 악화됐다.

이에 대해 대규모 당기순손실에 비해 재무안정성 지표의 상승폭이 크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구조조정에 돌입한 두산 측이 DIBH(Doosan Infracore Bobcat Holdings)의 7055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 발행, 두산중공업 해외법인의 3300억원의 영구채 발행, 자산재평가액 3300억원 등 적극적으로 자본을 확충한 결과다.

㈜두산의 손실의 주요 원인은 고정자산 감액(6884억원), 매출채권 대손상각(2360억원), 인력구조조정 비용(2138억원) 등이 꼽힌다. 지속적인 대손상각은 우려되지만 인력구조조정 비용이나 생산시설 폐쇄 비용, 법인세 증가 등은 추후 충분히 줄어들 수 있는 항목이다. 영업외손익에 반영된 손실이 1조원에 이른다. 두산중공업의 경우 자체적으로 개발사업 매각손실 등과 관련해 3268억원을 손실 인식했다.


그렇다고 두산그룹이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고 올해 또는 내년에 반등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당기순손실의 많은 부분이 영업외에서 비롯했으나 영업 환경도 결코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두산인프라코어의 중국 굴삭기 사업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고 업황 부진에 따라 해외에서의 두산중공업과 두산건설의 추가 대손 비용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자산매각 작업도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 두산그룹은 두산인프라코어의 공작기계사업부, 두산DST 매각, 한국항공우주(KAI) 지분 매각 등을 추진 중이다. 공작기계사업부의 경우 지난해 말 스탠다드차타드 프라이빗에쿼티(SC PE)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가 이달 들어 MBK파트너스로 변경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두산DST의 경우 한화나 LIG 등이 인수후보군으로 있으나 인수합병(M&A) 업계에서는 양 측의 가격차가 다소 존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크레디트 업계의 한 관계자는 "거의 모든 기업이 글로벌 경기 침체에 타격을 입고 있지만 두산그룹의 경우 더 뼈아플 것"이라며 "올해 당기순손익은 지난해보다 좋아지겠으나 업황 회복이 따르지 않으면 유동성 위기설을 말끔히 털어낼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른 관계자는 "구조조정 터널의 끝이 보이고 자산 매각을 매듭지으면 위기설은 수면 아래로 내려갈 수는 있지만, 두산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를 중심으로 실적 돌파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2016.01.06 송상현 기자2016.02.04 송상현 기자 <자료출처-NICE신평>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