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9일 오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연이어 통화를 하고 북한의 4차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강력하고 실효적인 대북 제재 결의'를 마련하는데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20분 오바마 대통령이, 오전 11시50분 아베 총리가 걸어온 전화를 받고 이같은 내용에 관해 통화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통화에서 "북한의 이번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명백한 위반으로서, 미국 뿐 아니라 동맹국의 안전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라며 "미국의 한국에 대한 방위공약은 흔들림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 대응에 있어 기본적인 토대는 강력한 대북 억지력의 확고한 유지"라면서 "오바마 대통령이 한반도 안보 공약을 재확인하고, 단호한 대응 의지를 표명해 준데 대해 감사하다"고 답변했다.
이어 "한·미 양국을 비롯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북한은 핵실험에 이어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를 감행했다"며 "이는 국제평화와 안정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서, 결코 용납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으로 하여금 핵 개발, 경제건설의 병진노선이 결코 성공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깨닫도록 국제적으로 단합된 의지 하에 필요한 구체 조치들을 취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청와대는 두 정상이 북한의 도발과 관련해 국제 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위해 우선 안보리에서 '강력하고 실효적인 대북 제재 결의'가 채택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 안보리 결의와 별도로 양자 및 다자 차원에서 다양하고 강력한 대북 제재 및 압박 조치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아베 총리와의 통화에서 "북한에 대한 압박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유엔 안보리 결의와 별도로 양자 및 다자 차원에서 다양한 제재 조치를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의 제재와 별도로 일본 정부의 독자 제재 조치를 취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청와대는 이번 미사일 발사 강행이 국제평화와 안정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데 인식을 함께 하고 북한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최대한 강력하고 실효적인 내용의 유엔 안보리 결의안이 채택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박근혜 대통령이 9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연이어 통화를 갖고 강력하고 실효적인 대북 제재 결의를 마련하는데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사진 왼쪽부터 아베 총리, 박 대통령, 오바마 대통령. <사진출처=포커스뉴스 DB>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