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에너지 R&D '새판' 짠다…'미션이노베이션 위원회' 발족

편집부 / 2016-02-04 11:12:52
"2021년까지 청정에너지기술 공공투자 두 배 확대"

(서울=포커스뉴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와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 등 에너지 연구개발(R&D) 관계부처가 향후 5년 내 청정에너지 공공투자를 두 배로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관계부처는 4일 오후 3시 서울 양재동(엘타워)에서 '미션이노베이션(Mission Innovation) 위원회'를 발족했다. 위원장은 김도연 포항공대 총장이 맡았다.

미션이노베이션 위원회는 현재 1.5조원 수준인 정부 에너지 연구개발 투자를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재편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상기후에 대비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요구에 대응하고 에너지 신산업을 조기에 확산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정부는 유엔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21)에서 미국, 프랑스 등과 함께 '청정에너지 혁신미션(Mission Innovation) 선언'에 참여한 바 있다.

이 위원회는 향후 약 4개월에 걸쳐 관계부처와 출연연구원, 에너지 공기업, 산‧학‧연 전문가 등 100여 명 이상이 참여한 가운데, 구체적 이행방안(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점적으로 투자해 나갈 핵심 청정에너지 기술을 선별하고, 주요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한편 관련 분야의 투자확대 규모를 산정하는 작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해외사례를 벤치마킹해 2030년 이내 상업화가 가능한 분야를 발굴하는 작업도 병행한다.

산업부(도경환 산업기반실장)와 미래부(박재문 연구개발정책실장)는 공동 주관해 관계부처(기재부‧미래부‧산업부‧국토부‧환경부‧해수부) 협의회를 운영하면서 연차별 재정전략 등에 대한 조율작업을 통해 위원회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도경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은 "파리총회 이후의 신기후체제에서 청정에너지 기술력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전문가 위원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해달라"고 당부했다.

박재문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한국의 경제·산업 현실을 고려할 때 혁신적인 기후기술이 답이 될 수 있다"며 "과학기술과 정보기술산업(ICT)를 활용해 온실가스 저감과 재활용을 위한 새로운 수단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션이노베이션 위원회를 통해 도출되는 중장기 로드맵은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심의 등을 거쳐 오는 6월 1일과 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는 제7차 클린에너지 장관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