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51208215920971_u1wjaf3y.jpg |
(서울=포커스뉴스) 2014년도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이 사상 최초로 50억 달러(약 6조290억원)를 돌파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6일 발표한 '2015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4년도 기준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4.1% 증가한 94조9472억원으로 집계됐다.
대내외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연평균 6.7%씩 꾸준히 성장했다. 이는 2014년도 국내 경제성장률이 전년 대비 3.3% 증가했고 5년간 연평균 3.0% 성장한 것과 비교할 때 주목할 만한 수치다.
콘텐츠 매출액은 출판, 영화를 제외한 전 산업 부문에서 증가했다. 특히 지식정보(9.2%), 캐릭터(9.0%) 부문 등에서 매출 규모가 크고 높은 증가율을 보여 국내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규모는 출판산업이 20조5867억원으로 가장 컸다. 그 다음으로는 방송(15조7746억원), 광고(13조7370억원), 지식정보(11조3436억원), 게임(9조9706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4년도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전년 대비 7.1% 증가한 52억7351만 달러(약 602조9000억원)를 기록했다. 수출액은 출판, 영화, 광고를 제외한 전 산업 부문에서 증가했다. 특히 음악(21.0%), 캐릭터(9.6%), 게임(9.5%) 부문 등에서 수출 규모가 크고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2014년도 수입액은 전년 대비 10.8% 감소한 12억9423만 달러(약 1조605억원)로 무역수지는 39억7928만 달러(약 4조7982억원)의 흑자를 나타냈다.
수출액 규모는 게임산업이 29억7383만 달러(약 3조5858억원)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캐릭터(4억8923만 달러, 약 5899억원), 지식정보(4억7965만 달러,약 5783억원), 방송(3억3601만 달러, 약 4051억원), 음악(3억3565만 달러, 약4047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류의 영향으로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5년간 연평균 13.4%씩 높은 성장률을 유지했다.
게임산업 수출액은 전체 수출액 52억7351만 달러(6조3587억원) 중 절반 이상의 비중(56.4%)을 차지했다. 연평균 16.7%씩 꾸준히 성장해 2010년 16억610만 달러(약 1조9366억원)에서 2014년 29억7383만 달러(약 3조5858억원)로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
한편 2014년도 국내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61만6459명으로 집계됐다. 사업체 수는 10만5442개로 나타났다. 종사자 수는 출판, 만화, 게임, 영화, 방송, 광고 등에서 감소했으며 콘텐츠솔루션(9.5%), 지식정보(5.0%) 등에서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종사자 규모는 출판(19만1033명), 게임(8만7281명), 음악(7만7637명), 지식정보(7만5142명), 광고(4만6918명), 방송(4만1397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산업 통계조사'는 국가승인통계로서 콘텐츠산업 분류에 근거해 11개 산업(출판·만화·음악·게임·영화·애니메이션·방송·광고·캐릭터·지식정보·콘텐츠솔루션)에 대한 통계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한다.
이번 통계조사는 문체부가 9개 산업(출판·만화·음악·게임·애니메이션·광고·캐릭터·지식정보·콘텐츠솔루션)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2개 기관(영화진흥위원회·방송통신위원회)에서 실시한 영화, 방송 산업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집계한 것이다.지난해 12월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콘퍼런스룸에서 열린 '2015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시상식에 참석한 사람들이 수상자 및 수상 작품을 관람하고 있다.<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