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 이전 준비단계 첫 도입

편집부 / 2016-01-21 13:42:19
주민 주도의 서울형 도시재생 확산키로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는 유형별로 차별화된 준비단계를 거쳐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지정을 추진하고, 주민주도의 서울형 도시재생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21일 밝혔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자체장이 지정할 수 있고, 선정된 지역은 지역별 구체적 실행방안을 담은 계획을 수립, 실행, 자력재생단계를 밟게 된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되면 계획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에 주민이 주축이 돼 지역의 정체성에 걸 맞는 맞춤형 도시재생이 이뤄진다. 또 4~5년 간 마중물사업에 100억~500억원의 공공지원을 받는다.

시는 이번에 처음으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에 앞서 약 1년간의 '사전 준비단계'를 도입, 공모부터 지정까지 주민들의 공동체활동 역량 기반과 생태계 조성을 선행하기로 했다.

대상지 선정은 도시재생 파급 범위에 따라 ▲경제기반형(광역차원)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도심활성화거점) ▲근린재생 일반형(노후 저층주거지) 등 3개 유형으로 구분해 이뤄진다.

시는 올해 이러한 준비단계(공론화과정, 희망지 사업)를 거쳐 신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오는 2017년 확정할 계획이다.

시는 오는 28일 이들 3개 유형의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지정과 관련한 25개 자치구 통합 설명회를 개최, 세부내용을 설명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이제 '서울형 도시재생의 틀'이 마련되고 활성화지역 지정 이전부터 도새재생에 대한 공감대형성 및 주민역량강화가 이뤄지면,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돼 지역 활성화도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