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kakaotalk_20160115_162239619.jpg |
(서울=포커스뉴스)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을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키로 했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 이하 복지부)는 18일 오전 판교 차바이오 콤플렉스에서 외국인환자 유치 확대 및 의료기관 해외진출 지원, 원격의료 시범사업 확대, 신약 약가우대 등의 내용을 담은 ‘보건복지부 2016년 업무계획’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바이오헬스 분야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해 양질의 일자리 76만개와 부가가치 65조원을 창출하겠다는 복지부의 목표다.
우선 복지부는 지난해 말 국회에서 제정된 ‘의료 해외진출법’을 통해 외국인 환자 유치를 2015년 28만명에서 2016년 40만명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외국인환자 부가세 환급, 외국어 의료광고, 외국인환자 종합지원창구 개설 등을 지원키로 했다.
한국의료 해외진출을 위해서는 지역별 맞춤형 전략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중동의 경우 의료기관 진출 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연수, 제약 수출, 병원 정보시스템 수출 등 ‘고부가가치 패키지 수출’을 추진하고, 중국은 기존 피부과·성형외과 중심의 소규모 의원급 지출 형태를 넘어 전문화·대형화된 의료기관 진출을 추진키로 했다.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의사-환자간의 원격의료 시범사업도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복지부는 원격의료 서비스 대상자를 1만200명으로 확대(2015년 5300명)하고, 참여 의원수도 지난해 148개에서 278개로 늘려 시범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또한 전국 주요 산업공단 내 근로자 건강센터를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원격의료를 통해 동네병원과 종합병원간 토탈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진료기록 및 CT·MRI 등 의료기관간의 영상정보 공유도 확대추진 된다.
방문규 복지부 차관은 “현재 진료기록 등 영상정보 공유는 경기(분당서울대병원), 대구(경북대병원) 등 일부 지역에서 시범사업으로 추진됐지만, 올해에는 시범사업 지역에 서울(세브란스병원)을 포함된다”며 “지역간에도 진료정보 교류가 가능한 표준시스템을 6월까지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진료기록 등 영상정보 공유가 확대되면 중복검사 및 처방을 줄여 환자의 의료비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오제약에 대한 지원정책으로는 글로벌 진출 신약의 약값우대 등이 추진된다.
혁신성이 인정되는 신약이 나올 경우 대체의약품의 최고가 수준으로 약값을 우대하겠다는 것이다.
약값우대 기준 등은 제약업계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오는 3월까지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1500억원대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를 통해 해외임상, M&A 등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방문규 차관은 “지난해 한미약품이 8조원대 기술을 수출했다”며 “제약산업에 있어 R&D가 중요하다. 복지부는 향후에도 R&D 투자지원 규모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방문규 보건복지부 차관(왼쪽에서 세번째)이 보건복지부 2016년 업무보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민승기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