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반올림), 삼성에 사과요구 |
(서울=포커스뉴스) 8년 간 논란만 지속됐던 삼성전자 반도체 직업병 사태가 ‘재해예방방지’ 타협으로 물꼬를 틀었다.
하지만 나머지 조정 의제에 대한 일부 유가족과 피해자의 반발이 거세 당분간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반올림)는 13일 오전 11시 강남역 8번출구 반올림 농성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발방지대책 합의 내용을 성실히 이행하고 ‘사과’와 ‘보상’에 대한 교헙 약속을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지난해 7월 삼성전자 및 유가족‧피해자 등 당사자들과 독립된 '삼성전자 반도체 등 사업장에서의 백혈병 등 질환 발병과 관련한 문제 해결을 위한 조정위원회'(조정위)는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보상 △대책 △사과를 3의제로 하는 조정권고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날 사회를 맡은 권영은 반올림 집행위원장은 “어제(12일) 재해예방대책에 대한 합의만 이뤄졌을 뿐 사과와 보상문제 관련해서는 해결되지 않았다”며 이날 기자회견의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 반올림 상임활동가인 임자운 변호사가 삼성이 하고 있는 사과와 보상의 문제점을 언급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사과가 최소한의 의미가 있으려면 무엇을 잘못했는지 구체적인 내용이 있어야 한다”며 “삼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인정하고 사과하라고 요구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데 지금 삼성은 개별적으로 사과문을 발송한데다 구체적인 내용과 방식을 제시하지 않았다”며 “이는 조정위원회의 권고에도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보상에 대해서도 삼성전자의 태도가 일방적이라고 비판했다. 임 변호사는 “삼성은 직접 구성한 보상위원회로 직접 보상하고 있는데 이것도 교섭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어떤 직업병 피해자는 보상을 신청하며 ‘참담하고 미안하다’는 메시지를 반올림에 보내왔다”며 “왜 이분들이 생계비와 치료비를 보상받는데 왜 참담하고 미안해야 하는가. 삼성이 그렇게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삼성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보상위원회는 지난달 31일 보상신청을 마감했다. 반올림은 삼성전자가 생계비와 치료비가 절실한 피해자들을 보상마감을 통해 압박했다는 입장이다.
‘반도체 백혈병 문제 해결을 위한 보상위원회'(보상위)는 현재까지 150여명의 신청을 받았으며 이중 100명에 대한 보상이 이뤄졌다고 밝힌 상태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반올림 교섭단 대표이자 고 황유미(2007년 사망)씨 아버지인 황상기(61)씨도 참석했다. 황씨는 “100여명에게 보상이 완료됐다는데 신청자 150여명이 누군지, 보상 받은 100여명은 누군지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삼성전자 측이) 반올림과 협상해서 피해 보상 치료비 문제를 매듭지을 때까지 반올림은 여기서 계속 농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올림은 삼성전자 서초사옥이 위치한 강남역 8번출구 앞에서 99일째 농성을 진행 중이다.
한편 삼성전자와 삼성직업병가족대책위원회(가족대책위), 반올림은 지난 12일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법무법인 지평 사무실에서 3대 조정의제 중 '재해예방대책'에 관해 최종 합의했다.
합의안에 따르면 우선 삼성전자는 내부 재해관리 시스템을 강화하고, 산업재해로 의심되는 질환이 발생할 경우 종합 지원할 수 있는 '건강지킴이 센터'를 신설해 운영한다.
백수현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 전무는 "오랫동안 끌어왔던 문제가 대화를 통해 합의한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모든 당사자들이 합의정신을 잘 이행해 나가를 바란다"고 말했다.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본관 앞에서,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반올림) 회원과 피해자 가족들이 전날 열린 조정위원회 합의 내용에 대한 입장을 밝히며 사과 및 보상 문제에 대한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2016.01.13 서영걸 기자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본관 앞에서,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반올림) 회원과 피해자 가족들이 전날 열린 조정위원회 합의 내용에 대한 입장을 밝히며 사과 및 보상 문제에 대한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2016.01.13 서영걸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