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해 '정부의 대중 외교 실패'비판이 일고 있는 것에 대해 외교부가 "한국과 중국은 북핵 문제에 관한 목표와 원칙이 같다"며 반박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외교부청사 정례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핵 도발은 중국에게도 엄중한 도전이 되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도 북한이 자신의 무모한 행동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 대변인은 "중국 정부는 핵실험 당일 외교부 성명을 통해서 아주 단호한 입장을 발표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북핵 불용, 핵실험 반대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런 차원에서 중국 입장이 표현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 대변인은 "북한의 기습적인 핵실험 직후, 한‧중 양국은 외교장관 레벨, 그리고 6자회담수석대표 레벨에서 협의를 가진 바 있고, 유엔안보리 차원에서도 대북제재의 실효적 이행방안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를 현재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우호적인 한국과 중국과의 관계는 한반도의 평화 공고화, 그리고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전략적 자산"이라고 환기시킨 뒤 "중국의 대북한 정책에도 중장기적으로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고, 북한의 반복되는 도발은 이러한 추세를 더욱 심화시킬 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13일 서울에서 한‧미‧일, 14일 북경에서 한‧중, 19일 모스크바에서 한‧러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를 갖고 북한 핵실험 대응방안을 논의한다. 또한 16일에는 동경에서 한‧미‧일, 한‧미, 한‧일 외교차관협의회도 개최한다.
유엔은 북핵 도발 다음 날인 6일(뉴욕 현지시간)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에서 신규 제재 결의를 즉각 추진하기로 의장 언론성명을 통해 결정했다.
이에 대해 조 대변인은 "어제, 오늘 단계에서 이사국 간 결의초안에 대한 협의가 시작됐다”며 “현재 그 결의안 문안작업이 시작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해 '대중 외교 실패'비판이 일고 있는 것에 대해 외교부가 12일 "한국과 중국은 북핵 문제에 관한 목표와 원칙이 같다고 생각한다"며 반박했다. 사진은 북한 집단체조 행사인 아리랑축전의 한 장면. 4차 핵실험을 계기로 김정은 우상화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2016.01.07 ⓒ게티이미지/멀티비츠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