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씽큐' 연동…스마트홈 본격 시동
(서울=포커스뉴스) LG전자가 에어컨과 청정기, 제습기 기능을 한데 모은 '휘센 듀얼 에어컨'을 출시하며 다양한 제품의 융복합, 사물간의 연계를 위한 스마트화에 시동을 걸었다.
LG전자는 1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LG트윈타워에서 신제품 출시회를 열고 휘센 듀얼 에어컨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는 한편 향후 에어컨 사업 방향에 대해 밝혔다.
이 자리에는 조성진 LG전자 H&A(홈앤어플라이언스) 사업본부장(사장)과 최상규 한국영업본부장(사장), 이재성 에어솔루션사업부장(전무)가 참석했다.
이날 조성진 사장은 휘센 듀얼 에어컨에 대해 "에어컨과 공기청정기, 가습기 등 많은 것들이 따로따로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이라며 "각각 독립돼 있는 제품들을 한 제품으로 모으면 스마트 관점이나 사물인터넷(IoT) 연계성 등에서도 운영하기 쉽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최근 CES(미국 소비자가전전시회) 쇼에서 보면서 느낀 점은 (가전제품들이) 인테그레이션(통합) 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이라면서 "나중에는 로봇까지 고민해봐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융복합 가전에 대한 가능성을 짚었다.
다만 이미 에어컨이 보편화된 상황임을 고려해 독립 제품 역시 따로 운영할 것이라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이번 제품은 에어컨이 카메라를 통해 스스로 인체를 감지한 후 맞춤형 바람을 내보내는 '스마트 듀얼 냉방' 기능이 탑재된 제품이다. 두 개의 출구에서 바람의 세기와 방향 등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LG전자는 냉방 기능과 별도로 실내 공기 상태를 감지해 자동으로 공기를 깨끗하게 해주는 기능이 있어 여름뿐만 아니라 4계절 내내 공기청정기와 제습기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에어컨 이외 공기청정 기능과 제습 기능을 위해 내내 가동해놓으면 전기요금이 부담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이에 대해 이재성 전무는 "에어컨 냉방 기능과 제습 기능은 컴프레서(공기압축기)를 사용하고 공기청정을 할 때는 모터를 사용한다"고 구분해 설명했다.
공기청정은 컴프레서에 비해 전기사용량이 적어 부담이 적으며, 컴프레서의 전기효율 문제는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로 잡았다는 입장이다.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는 실린더가 2개로 일반 컴프레서보다 효율이 좋다.
이어 이 전무는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로 인해 냉방이나 제습 등이 기본적으로 30%가 절감 된다"며 "여기에 인체감지센서를 사용하면 전기요금이 더 절약돼 기존 대비 50%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공기청정은 BLDC(Brushless Direct Current)모터로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1년 내내 사용해도 생각과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LG전자는 이날 출시한 휘센 듀얼 에어컨을 시작으로 올해 출시할 스마트 가전제품에 스마트홈 서비스인 '스마트씽큐'를 연동할 방침이다. 대상 제품은 냉장고와 세탁기, 에어컨, 로봇청소기 등의 제품군을 포함한다.
제품마다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했던 과거와 달리 스마트씽큐 어플리케이션 하나로 여러 제품을 조작할 수 있도록 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LG전자가 1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LG트윈타워에서 '휘센 듀얼 에어컨' 신제품 출시회를 열고 신제품의 주요 기능 및 향후 에어컨 사업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조성진 LG전자 H&A사업본부 사장이 인사말 하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