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6자회담_한일미_수석(출처-_ytn).jpg |
(서울=포커스뉴스)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13일과 14일 연쇄 회동을 갖고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조율한다.
13일 서울에서는 한·미·일, 14일 북경에서는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가 만난다. 러시아와의 협의도 곧 성사될 전망이다.
외교부는 11일 오후 "황준국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미·일·중·러 6자회담 수석대표들과 다양한 다자·양자 차원의 대응 방안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황 본부장은 지난 6일 북한의 4차 핵도발 직후 미·일·중·러 6자회담 수석대표들과 긴급 통화를 가졌다.
외교부는 "현 상황의 엄중함을 감안해 보다 강력하고 포괄적인 안보리 결의의 신속한 도출을 포함한 대응 방안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황 본부장이 13일 서울에서의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 바로 다음날 중국을 방문해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이번 북한 핵실험 대응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한·러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 일정도 현재 러시아 측과 조율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는 작년 12월 3일 미국 워싱턴 개최 이후 한 달여 만이다. 한·중, 한·러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는 각각 작년 11월 24일, 2월 24일 열린 바 있다.
외교부는 "정부는 미·일·중·러 6자회담 수석대표간 연쇄 협의를 통해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앞으로도 미·일·중·러 등 주요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와 비핵화 요구에 정면으로 도전한 북한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13일과 14일 연쇄 회동을 갖고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조율한다. 사진은 2015년 12월 3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에 참가한 황준국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왼쪽), 이시카네 키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성 김(Sung Kim)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오른쪽). <사진출처=방송화면 캡처>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