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정의평화불교연대는 동국대 이사회의 이사 총사퇴 결의에 대한 조속한 이행과 동국대 교수들에 대한 징계 철회를 촉구했다.
불교연대는 11일 성명을 내고 ▲동국대 이사진 총사퇴 결의 실행 로드맵 제시 ▲보광 총장이 요청한 교수 징계 철회 ▲동국대 사태 해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 등 세 가지 사항을 요구했다.
지난해 총장인 보광 스님과 이사장 일면 스님의 거취 문제를 놓고 학내 갈등이 격화된 동국대 사태를 두고 불교연대는 "동국대 총장 선임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한 조계종 집행부의 무분별한 행동에서 촉발돼 동국대를 책임지는 자리에 있는 스님들의 부도덕성 논란이 겹치면서 확산됐으나 뜻을 가진 불자들과 스님들의 저항으로 위기를 극복했다"고 정리했다.
이같은 관점에서 불교연대 측은 "조계종과 동국대 집행부는 수행자다운 성찰을 통해 자신들의 잘못을 뉘우치고 적극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에 나설 때"라며 "우선 이사진 총사퇴 결의를 조속히 이행하고 그 과정에서 생긴 문제를 불교적 관용과 포용성을 토대로 풀어가야 한다"고 동국대 사태 해결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또 동국대 교수들에 대한 징계안이 이사회 안건으로 올라온 것에 대해선 "이사진 총사퇴 결의가 조속히 이행되리라는 기대를 저버리고 동국대 교수들에 대한 중징계를 요청한 데 배신감을 넘어 황당함마저 느낀다"며 "문제를 일으킨 핵심축인 보광 총장이 나서 이사회에 중징계를 요청한 것은 자신의 행동을 한번이라도 성찰했는지 의심케 하는 어리석음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이어 불교연대는 "보광 총장은 논문표절 시비와 그 과정에서의 게재 철회라는 자신의 행동이 문제의 출발점이었음을 인식하고 자진 사퇴를 포함한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고 자중자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14년 동국대학교의 총장선거에 대한 조계종 종단의 개입 의혹이 불거진 이래, 작년 1년간 동국대학교의 많은 구성원들이 반발해 왔다.
동국대 사태는 2015년 말 학교 구성원들의 단식과 투신 예고 등 극한의 상황에서 297차 이사회의 임원 총사퇴 결의로 문제 해결의 기미가 보였다.
하지만 실제로 현재까지 대부분의 이사들이 사퇴서를 제출하지 않았으며, 11일 열리는 이사회에선 동국대 사태 당시 크게 반발해 온 동국대 교수협의회장 한민수 교수 등에 대한 중징계 요구안이 안건으로 올라와 동국대 사태가 재현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8일 민주화를 위한 전국 교수 협의회도 성명을 통해 "(동국대의) 학교 정상화를 위해 임원 전원 사퇴 약속을 빠른 시일 내에 실천하고 한 교수 등에 대한 무리한 징계절차도 중단해주길 요청한다"며 "현 이사회가 자리 지키기에 몰두한다면 동국대 사태는 더욱 어려운 국면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2015년 12월 2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중구 동국대학교에서 반값등록금국민본부와 사학개혁국민본부가 동국대 사태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제공=참여연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