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dscn2188.jpg |
(라스베이거스=포커스뉴스) "퀀텀닷은 LCD(액정표시장치)입니다. 올레드는 올레드죠."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대표이사)이 세계 최대 가전쇼 'CES 2016'을 하루 앞둔 5일(현지시간)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경쟁사인 삼성전자 제품을 겨냥해 날을 세웠다.
이번 CES에서 LG디스플레이는 '현존 최강 화질'을 강조하며 초고화질 올레드(UHD OLED) 기술을 선보는데, 삼성전자의 퀀텀닷 디스플레이 기술을 견제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LG전자보다 하루 앞선 지난 4일 신제품 출시회를 갖고 퀀텀닷(Quantumdot‧양자점)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2016년형 SUHD(삼성 프리미엄 초고화질) TV를 공개한 상태다.
출시회에서 직접 신제품을 공개한 김현석 삼성전자 사장(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은 "2세대 퀀텀닷 기술을 사용해 색깔이 작년에 비해 좋아지고 밝기도 높아졌다"면서 "(퀀텀닷으로) 컬러필터를 바꿈으로써 LCD와 올레드의 장점을 아우르며 상당히 진보할 것"이라고 단언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한상범 부회장은 "퀀텀닷은 LCD, 올레드는 올레드다"라고 말했다. 짧지만 단호하게 삼성전자의 퀀텀닷 디스플레이 기술이 한계가 있다고 언급한 셈이다.
또한 삼성전자가 강조한 스마트TV의 얇은 두께에 대해서도 한 부회장은 "우리도 '페이퍼 슬림', '아트 슬림' 등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하며 "LCD와 올레드의 우위는 시장과 고객에게 맡기겠다"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두 회사 간 신경전의 중심에 있었던 'RGBW 방식'도 거론됐다.
이에 대해 한 부회장은 "해상도와 픽셀은 독립적"이라고 강조하며 "까다롭기로 유명한 제이타(일본기술표준협회)에서는 RGB 말고도 다른 컬러를 화소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LG디스플레이는 자사의 UHD TV에 기존 RGB(빨강‧초록‧파랑) 화소구성 방식 대신 W(흰색)을 추가한 RGBW 방식을 적용한 신제품을 출시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이 제품에 대해 W는 화소로 인정하면 안 된다고 맞서고 있다.
세계 최대 가전쇼를 하루 앞두고 논란 쟁점이 다시 한 번 언급되면서 양 사 간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올해 50회를 맞은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16은 오는 6일(현지시간)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는 전세계 3600여개의 기업이 참가하고 15만 명이 방문하는 등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규모로 진행될 전망이다.
국내외에서 TV,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 첨단 가전제품을 놓고 각축을 벌여온 두 기업은 이번에도 CES 2016 전시장 내 인근에 자리를 잡았다. 양사 모두 대형 전시 공간(삼성 2600㎡‧LG 2044㎡)을 확보하고 'CES2016 혁신상' 수상제품 및 신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다.LG디스플레이가 'CES 2016'을 하루 앞둔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컨벤션 센터(LVCC)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2016.01.06. 박나영 기자.2016.01.06 박나영 기자 김현석 삼성전자 사장이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2016년형 스마트TV 신제품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삼성전자> 2016.01.05 박나영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