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태호, 지도부 향해 |
(서울=포커스뉴스) 내년 4·13 총선에 적용될 공천룰을 두고 새누리당 내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현역의원 컷오프(Cut off)제와 결선투표제를 놓고 친박(親朴)계와 비박(非朴)계간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친박계인 김태호 최고위원이 공천특위 해체를 주장해 파문이 일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4일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현재 새누리당에서 진행되는 공천룰 특별위원회는 즉각 해체돼야 한다"며 "친박과 비박이라는 균형을 맞추는데 중점을 둔 공천특위로는 변화와 혁신을 위한 공천룰을 못 만든다"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결선투표제의 여론조사 비율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컷오프제의 도입을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결선투표제의 개념은 명확하다. 1차에서 과반을 득표한 후보자가 없을 경우, 2차에서 1,2 등이 결선 투표를 통해 경쟁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금 합의에 이뤄지는 내용을 보면 ±3% 오차 범위 내에 들어와 있을 때만 1,2등이 경선한다"며 "가산점도 있지만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다.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김 최고위원은 "컷오프제가 있어야 한다"며 "우리는 국민의 머슴이다. 머슴살이를 했으면 평가가 있어야 한다. 평과의 결과에 따라 구분돼야 한다"고 했다.
김 최고위원의 이같은 주장은 친박계의 주장과 동일하다.
친박계는 결선투표제에서 '일반 국민 50% + 당원 50%'의 비율로 경선 투표 방식을 도입하자고 주장한다. 박근혜 대통령을 지지하는 당원들의 비중을 높여 현역 비박계 의원들을 물갈이 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같은 맥락에서 이들은 여론조사 오차범위와 별개로 결선투표의 확대와 컷 오프제의 도입을 주장하는 것.
반면 비박계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는 현역 의원들에게 유리하도록 '일반 국민 70% + 당원 30%' 비율의 경선 투표 방식을 주장하고 있다. 또 여론조사에서 ±3%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결선투표제를 도입하지 않을 것을 주장한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를 끝내고 나와 김 최고위원의 이같은 돌발발언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총장한테 물어보라"며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공천특위 해체'와 관련된 질문에도 굳은 얼굴로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았다.
한편, 김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를 끝내고 나와 김 대표와 각을 세운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각이 아니라 우리 당이 가야될 길, 물갈이에 대한 민심의 여부를 반영하는게 당의 미래가 있는 것"이라며 "(국민에게) '비박·신박의 갈등만 유발하는 당이다' 이렇게 비춰지고 있지 않나. 이걸 깨지 않으면 굉장히 어려워질 수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전략공천을 도입해야 한다고 보냐는 질문에는 "새로운 인재 영입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줘야 하는데 우리처럼 높은 차벽 세워놓고 인재영입의 길을 오히려 차단하고 있다"며 전략공천을 주장했다.김태호(왼쪽) 새누리당 최고위원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16.01.04 박철중 기자 (서울=포커스뉴스) 김무성(오른쪽) 새누리당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가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대화하고 있다. 2016.01.04 박철중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