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2016년 채권금리는 글로벌 경제의 침체 지속과 이에 따른 저물가로 하향 안정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추가 인상도 한 두 차례에 그치고, 미국 외 지역의 통화정책 완화 기조가 내년에도 유효할 전망이다.
4일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2016년 금리 흐름을 '상고하저'로 진단하고, 특히 1분기 일시적인 금리 상승을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레인지를 국고 3년물 기준으로 연 1.40%에서 2.10%로 추정했다. 좁게는 1.50%에서 1.90%로 잡았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결정에 대해서는 올해 상반기 중 한 차례 인하에 무게가 실렸다. 미국과 별개로 저성장과 저물가 하에 각국의 경쟁적인 통화 완화 정책에 동참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 급격한 경기 회복은 없다…금리 하향 안정화 무게
채권 애널리스트들은 올해 글로벌 경제가 회복하지 못할 것이라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한국 경제도 마찬가지. 단기간 높아지는 성장률과 물가로 일시적으로 금리가 오를 수는 있지만, 점차 하향 안정화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박종연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국제유가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로 올해 1분기까지는 국내외 물가상승률이 반등하는 단기 리플레이션 국면이 예상된다"며 "그러나 올해에도 디플레이션 공포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중국의 원자재 수요와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는 반면, 세계 경제를 부양시킬 신흥국이 등장하기는 힘들다고 분석했다.
신동준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도 "올해 1분기까지 박스권을 형성하는 장기금리는 2분기부터 하락세를 재개할 것"이라며 "미국경제의 정점논란, 중국경제 둔화 이슈, 산업 구조조정, 대선을 앞둔 정책불확실성이 겹치는 하반기는 우리 경제와 시장의 고비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지만 HMC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올해에도 한국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들어서 있음을 다시 확인시킬 가능성이 크다"며 "올해 초 채권 매수포지션을 재구축하는 것이 필요하고 1분기 말부터는 장단기 스프레드 축소에 베팅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윤여삼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글로벌 경제가 생산성 확보를 통한 성장경로를 찾지 못하면서 금리 상승을 차단할 것"이라며 "올해 한국 경제의 성장률과 물가 반등이 금리를 끌어올릴 수준으로 이어지기는 힘이 부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박태근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다소 다른 의견을 내놨다. 그도 전체적으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으나, 완만한 민간소비 회복에 따라 시장금리가 올해 2분기 이후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동원 SK증권 애널리스트도 채권금리의 완만한 상승 기조를 예상했다. 글로벌 경제가 저성장 국면을 탈출하기 어렵지만 미국의 금리인상이 국내 금리에 상승압력을 가하리라는 분석이다.
◆ 한은 금통위, 내년 상반기 중 금리인하…일부는 동결 예상
미국의 금리인상에도 한은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동결 내지는 오히려 인하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제 회복이 미흡한 상황에서 미국 외 지역의 경쟁적인 통화완화 기조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것.
박종연 애널리스트는 "올해 말까지 연준의 기준금리는 1.00% 이하에 머무를 것"이라며 "올해 하반기 통화완화 정책이 재개되면서 국내에서도 금리인하 필요성이 부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동준 애널리스트는 "올해 3월과 4월 중 각국 중앙은행들의 경쟁적 통화완화와 함께 한은도 금리인하에 동참할 것"으로 추측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올해에도 동결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성장의 하방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 만큼 올해 1분기 금리인하 기대가 다시 부각될 가능성은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 두 차례의 미국 금리인상을 예상한 김지만 애널리스트도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충분히 완화적이지 않다며 올해 3월 추가 금리인하를 예상했다.
그러나 박태근 애널리스트는 국내 기준금리가 상당기간 동결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만약 올해 미국 기준금리가 세 차례 이상 인상되고 신흥국 경기와 물가의 동반 회복세가 나타날 경우, 국내 기준금리가 4분기 중 한 차례 인상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동원 애널리스트도 국내 금리인하 명분이 많지 않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성장 둔화가 경기적 요인보다는 외부적, 구조적 요인에 있고, 무엇보다 가계 부채 부담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