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장대섭 국회의사국장, 선거구 획정안 전달 |
(서울=포커스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는 오는 2일 전체회의를 열고 정의화 국회의장이 전달한 기준안에 맞게 선거구획정안을 논의한다.
선거구획정위는 이날 오후 회의를 통해 정 의장이 전달한 지역구 246석-비례대표 54석 기준과 헌법재판소가 인구편차를 3:1에서 2:1로 줄이라고 한 판결에 따라, 선거구 구성을 논의한다.
정 의장은 지난 1일 자정을 기해 "여야는 선거제도에 따른 의석의 득실 계산에만 몰입하면서 서로 책임을 떠넘기며 해를 넘기고 말았다"며 "국회의장으로서 더 이상 명약관화(明若觀火)한 비상사태를 그대로 방치할 수 없다"고 선거구획정위에 기준안을 전달했다.
정 의장은 담화문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예외로 하고 2004년 17대 총선 이후 여야가 계속해서 지켜온 국회의원 정수 300명을 그대로 유지하고, 지역구 국회의원 역시 지금과 같이 246명을 기준으로 하여 선거구 획정을 요청한다"며 "오는 1월5일까지 선거구획정안을 마련하여 의장에게 제출해 줄 것을 의장 직권으로 요청하는 바"라고 했다.
정 의장은 이를 토대로 오는 8일 열리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안(案)을 직권상정해 처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내용의 기준이 적용될 경우 농어촌 지역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농어촌 지역 의원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정 의장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농어촌 지역 대표성 확보를 위하여 수도권 분구대상 선거구 중 자치구·시·군의 일부를 분할하여 분구대상에서 제외할 것을 고려해주시기를 획정위에 요청한다"며 "다만 이 경우 그 수는 3개를 초과할 수 없다"고 선거구획정위에 요청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의원총회를 통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및 기업활력제고법 등 민생 경제 법안을 선(先) 처리하고 선거구획정안을 후(後) 처리한다는 방침을 추인해 선거구 획정은 앞으로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여야 선거구 획정 협상이 무산되어 현행 선거구 획정 법적 시한이 지나버린 1일 오전 서울 관악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를 찾은 장대섭 국회의사국장이 정의화 국회의장의 현행 의석 비율로 조정해 만든 선거구 획정안을 관계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2016.01.01 성동훈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