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X 개발 성공시 경제효과 90조원, 일자리창출 30만명 전망
(서울=포커스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최대 연구개발 사업인 한국형전투기 개발에 착수하게 됐다.
KAI는 28일 방위사업청과 한국형전투기(KF-X: Korean Fighter Experimental) 체계개발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KAI는 지난 3월 KF-X 체계개발사업 우선협상 업체로 선정된 후 지난 11월 국제공동개발 파트너인 인도네시아 정부, PTDI와 비용·업무분담 가계약을 체결하는 등 국내외 협력업체와 협의를 진행해 왔다.
KF-X 사업은 한국 공군의 노후전투기(F-4, F-5)를 대체하고 2020년 이후 미래 전장 환경에 적합한 성능을 갖춘 한국형전투기를 체계 개발하는 사업이다.
전체 개발비용 중 한국 정부가 60%, 인도네시아 정부가 20%, KAI를 포함한 업체가 20%를 분담하며 2022년 초도비행을 시작으로 2026년 6월까지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KAI는 지난 11월 비용과 업무분담에 대한 가계약을 체결한 인도네시아와 내년 1월 최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는 자국 공군력 증강과 항공산업 육성 차원에서 KF-X 개발비의 20%를 분담하며 체계개발 업무에 참여함과 동시에 시제기 1대와 각종 기술 자료를 이전 받을 계획이다.
KF-X 사업이 본격 착수됨에 따라 공군의 노후기 대체는 물론 한국군의 미래 자주적 군사력 건설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해외 직구매에 의존한 전투기를 자체 개발함으로써 운용유지비 절감과 가동률 제고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KF-X 개발에는 많은 국내 협력업체와 대학, 연구기관 등이 참여할 예정으로 국내 항공산업 인프라 확대와 동반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출연연구소, 학계, 협력업체 등의 역량을 결집, 90여개의 품목을 국산화하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KAI 관계자는 “대형 개발사업의 취지에 걸맞게 가능한 많은 산·학·연이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KF-X 사업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KAI는 한국과 인니 공군 외에도 전 세계적으로 4500여대 이상 판매된 F-16의 노후 대체시장을 고려할 경우 600~700여대의 KF-X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KF-X 개발과 양산에 따른 경제효과는 90조원, 연 30만 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출을 포함해 1000대 이상 판매할 경우 경제효과와 일자리 창출은 2~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KAI는 이날 경남 사천 본사에 ’항공기 개발센터’ 를 건립하고 KF-X를 비롯한 대형 개발사업 성공을 위한 준비를 완료했다. 항공기 개발센터는 지상 7층, 지하 1층 연면적 2만4512㎡ (7415평) 규모로 고정익, 회전익, 무인기 등 항공기 복합 설계가 가능한 연구동과 시험시설을 갖춘 시험동으로 구성된다. 또한 1500 여명의 연구 인력을 수용할 수 있다.
이번 항공기 개발센터 건립을 통해 KAI는 항공기 설계, 항공전자, 비행제어, 위성·무인기 시험 인프라 등 주요 개발 시설과 자원을 통합해 개발환경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계획이다.KF-X<사진제공=KAI>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