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디지털사이니지 육성에 3년간 789억 투자

편집부 / 2015-12-28 09:55:26
전국 5개소 실증단지 구축, 20개 글로벌 스타기업 육성 등

(서울=포커스뉴스) 미래창조과학부가 TV, PC, 모바일에 이어 차기 스크린으로 주목받는 디지털사이니지(Digital Signage) 육성에 2018년까지 789억원을 쏟는다.

미래부는 28일 이 같은 방안을 담은 ‘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디지털사이니지는 공공장소, 상업공간 등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다.

디지털사이니지는 세계시장 규모가 2014년 151억달러에서 20년에는 314억달러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미 우리나라는 전 세계 사이니지용 디스플레이 시장의 19%를 점유하고 있고 디스플레이와 유무선 네트워크의 강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미래부에서는 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를 위해 2018년까지 △선순환 시장 생태계 조성 △중소벤처기업 지원 확대 △글로벌 지향 선도적 기술개발 △법‧제도 선진화 등에 총 789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민간수요 창출을 위해 전국 5개소에 실증단지를 구축하고, 평창 올림픽과 연계해 5곳에 사이니지 거리를 조성한다. 또 현재 1곳(잠실 광고문화회관)에 불과한 체험관도 10개로 확대한다. 특히 디지털사이니지를 활용한 재난‧안전 시스템 구축과 지자체 공공서비스 개발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여 공공수요도 창출할 계획이다.

또 전국 3곳에 디지털사이니지 특화 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송도에 있는 품질인증 시험센터의 기능을 확대하는 등 전체 200여개 기업의 80%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통해 20개 글로벌 스타기업을 육성한다.

글로벌 디지털사이니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2018년까지 총333억원을 투입한다. 취약한 SW(소프트웨어) 및 콘텐츠와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초기단계인 국제 표준화 활동에 적극 대응한다.

옥외광고물 관련 법령을 정비해 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고, 미국 타임스퀘어와 같이 설치규제를 대폭 완화한 자유표시구역 도입과 신기술에 대한 임시 허가제 활용도 검토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를 통해 2018년 기준으로 전 산업에서 생산유발 5.5조원, 부가가치유발 2조3000억원, 고용유발 3만명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최준호 미래부 디지털방송정책과장은 “이번 산업 활성화 대책을 통해 침체된 디지털사이니지 광고시장이 확대되고 다양한 수익모델이 개발돼 사이니지 산업의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정부의 디지털사이니지육성정책 개요.<그림제공=미래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