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체제'를 이끈 야당세력 '민추협'에 주목하다

편집부 / 2015-08-18 10:40:11
신간 '한국의 민주화와 민주화추진협의회'

'87체제'를 이끈 야당세력 '민추협'에 주목하다

신간 '한국의 민주화와 민주화추진협의회'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매년 조사하는 민주주의 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완전한 민주주의'를 이룬 25개국에 포함돼 있다.

아시아 국가로서 이 범주에 든 나라는 일본과 한국뿐이다.

현실 정치가 보여주는 실망스러운 모습에도, 제도로서의 한국 민주주의는 안정적인 궤도에 있음을 보여준다.

지금과 같은 정치체계가 정립된 것은 이른바 '87년 체제'라고 불리는 1987년부터다.

전두환 정권은 1987년 4월 13일 대통령 간선제를 유지하겠다는 '4·13 호헌조치'를 발표했다가 '6월 항쟁'이라는 국민적 반발에 직면했고, 결국 같은 해 6월 29일 노태우 당시 대통령 후보의 '6·29 민주화 선언'으로 민주화 시대가 열렸다.

1987년 이전에도 4·19 혁명 등 민주화로 나아가기 위한 움직임은 있었다.

그러나 87년 체제는 정치적 변혁을 이끌어 낸 분명한 주도세력이 있다는 점에서 이전과 양상을 달리한다.

18일 출판사 오름에 따르면 최근 발간된 책 '한국의 민주화와 민주화추진협의회'(강원택·조성대·서복경·이용마)는 1987년의 민주화 운동을 주도했던 야당세력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에 주목한다.

민추협은 1985년 2월 12일 총선으로 역사 전면에 등장한 신한민주당의 모태이며 이어진 민주화 운동을 신한민주당과 함께 이끌어간 주역이었다.

그러나 우리 학계에서 민추협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했다.

민주화 직후 치러진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민추협의 두 지도자인 김영삼·김대중이 분열하면서 선거에 패했기 때문이다. 또 학계에서는 민주화 운동을 제도권 정치세력보다는 학생이나 노동 등 민중적 관점에서 보려는 시각이 더 강했다.

그러나 책은 "87년 체제는 그것을 이끌어 낸 민추협을 고려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평가가 내려지기 어렵다"며 "민주화 과정에서 민추협의 활동과 목표는 87년 체제의 기반이 됐다"고 설명한다.

민추협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지만,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상당한 역할을 한 세력의 기원과 활동상, 특성 등을 역사·학술적으로 파고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오름. 216쪽. 1만3천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