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정부에 신곡수중보 철거여부 연구 요청
양 기관 TF·한강하류발전협의회 구성 제안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서울시가 하천 흐름을 방해한다는 등 논란이 있는 신곡수중보 철거 여부를 연구해달라고 정부에 재차 요구하고 나섰다.
서울시는 18일 "시가 추진한 '신곡수중보 영향 분석 연구용역' 결과를 5월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에 보내며 신곡보의 소유권자인 국토부가 판단을 내려달라고 요청했지만 답을 듣지 못했다"면서 정부가 신곡보 철거여부에 대한 연구에 나서야 한다고 요청했다.
시는 지난달 한강하류에 발생한 녹조현상으로 신곡보가 하천 흐름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가 더욱 절실해진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신곡보는 하천 주변 지하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막고 바닷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1988년 설치됐다. 그러나 보 설치 후 상·하류 간 생태계가 단절되고, 한강 물의 체류 시간이 길어지면서 수질이 나빠졌다는 지적이 일었다.
시는 올해 2월 종료된 관련 연구용역에서 신곡보 철거 시 농업용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하고 운수로의 준설이 필요하지만, 유속이 빨라지고 하천 상·하류 간 단절 현상이 해소돼 수질이 개선되고 생태계 연속성도 회복된다는 결론을 얻은 바 있다.
시는 정부 주도 하에 서울시 연구 결과를 검증하고 추가 연구도 해줄 것을 요청하며 양 기관이 참여하는 TF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또 정부가 신곡보 문제를 논의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한강하류지역발전협의회'(가칭)도 구성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학진 서울시 물순환기획관은 "신곡보는 영향 범위가 서울 구간에 국한되지 않고 잠실수중보 하류부터 한강 하구에까지 해당한다"며 "신곡보 문제를 논의하려면 서울시뿐만 아니라 해당 광역·기초지자체와 관계기관, 정부, 시민이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서울시에서 수중보 철거와 관련한 2차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며 "용역결과가 나오면 검토하겠지만 수중보 철거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는 현재 신곡보 관련 추가 연구를 하고 있으나 정부가 나서서 협의체를 운영한다면 시 차원의 연구는 중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기획관은 "신곡보 철거로 인한 긍정적 효과는 2월 연구용역에서 확인됐지만 이해관계 주체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한강하류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