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형 사죄' 아베담화에 시민단체 "사죄라 할 수도 없다"
(서울=연합뉴스) 권영전 채새롬 기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과거형 사죄' 등을 담은 전후 70년 담화를 14일 내놓은 데 대해 일제 강제동원 관련 시민단체들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단체들은 특히 아베 총리가 다음 세대에 사죄를 계속해야 하는 숙명을 짊어지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 것을 강하게 비판했다.
양순임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장은 "무라야마 담화를 유지하지는 못할망정 자신은 사죄하지 않고 과거형으로 '사죄해왔다'고 표현할 것이라면 애초에 담화를 할 이유조차 없다"는 평가를 내렸다.
양 회장은 "후손들은 사죄할 필요가 없다는 말은 후손들은 전쟁을 다시 일으켜도 된다는 뜻이나 다름없다"면서 최근 집단자위권 법안 처리를 추진해온 것을 언급하며 "아베가 일본 국민들을 전쟁광으로 만들고 있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전쟁 세대들도 제대로 사죄하지 않았으면서 후손에게 사죄할 책임을 지우지 않겠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주성 일제강제동원희생자 유가족협동조합 대표는 "과거형으로 이뤄진 이번 아베 담화는 편법이며 사죄라고 할 수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식민지배와 침략, 강제동원과 위안부 동원 등 사실을 인정하고 사죄한다는 한마디만 하면 해결될 일인데 이를 꺼려 마지못해 담화를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미래 세대에 사죄 책임을 지워선 안 된다고 말한 데 대해서도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처럼 아베 총리 스스로가 사죄를 하면 매듭이 지어질 일"이라며 "이렇게 해서는 미래 세대가 새롭게 한일 관계의 장을 열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이 과거사 문제에 미온적으로 나오는데도 적극적인 외교적 태도를 취하지 못하는 한국 정부도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아베 담화가 나온 직후 기자회견을 열어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담화문을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발표를 연기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