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담화 주요내용, 무라야마·고이즈미 담화보다 대폭 후퇴

편집부 / 2015-08-14 18:52:51
과거형으로 반성과 사죄 언급·일본의 식민지배와 침략도 물타기
△ 1995년 8월 15일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당시 일본 총리가 도쿄 총리관저에서 일본의 패전 50주년을 맞아 무라야마담화를 발표하고 있다.(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아베담화 주요내용, 무라야마·고이즈미 담화보다 대폭 후퇴

과거형으로 반성과 사죄 언급·일본의 식민지배와 침략도 물타기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일본 패전 70주년을 하루 앞둔 14일 발표한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는 일본이 식민지 지배와 침략을 행했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히지 않았다.

또 자신의 목소리로 사죄하는 대신 그간 일본이 사죄의 뜻을 반복해 표현했다며 '과거형'으로 사죄를 언급하는 데 그쳤다.

이는 패전 50주년과 60주년에 각각 발표된 무라야마(村山)담화, 고이즈미(小泉)담화가 일본의 이런 가해 행위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사죄했다는 평가를 받은 것과는차이가 있다.

아베 총리는 "우리나라는 앞선 대전(大戰)에서의 행위에 관해 반복해서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의 마음을 표명해 왔다"고 표현, 과거형으로만 반성과 사죄를 언급했고, 무엇에 관한 반성과 사죄인지도 확실히 하지 않았다.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총리와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총리는 각각의 담화에서 일본이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아시아 여러 국가에 큰 피해를 줬다고 명시하고 "통절한 반성의 뜻"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표명했다.

다음은 무라야마 담화, 고이즈미 담화, 아베 담화의 주요 내용 발췌.



◇ 무라야마 담화

(전략) 우리는 과거의 잘못을 두 번 다시 되풀이하지 않도록 전쟁의 비참함을 젊은 세대에 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중략) 또 현재 힘을 쏟고 있는 전후 처리 문제에 대해서도 우리나라와 이들 나라(이웃 여러나라)와의 신뢰관계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나는 계속 성실히 대응해 나가겠다. (중략) 우리나라는 가까운 과거 한 시기, 국가정책을 그르치고 전쟁에의 길로 나아가 국민을 존망의 위기에 빠뜨렸고,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많은 나라들 특히 아시아 여러 나라의 사람들에게 크고 많은 손해와 고통을 줬다. 나는 미래에 잘못이 없도록 하기 위해 의심할 여지도 없는 이런 역사의 사실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여기서 다시 한번 통절한 반성의 뜻을 표하며 마음으로부터 사죄의 마음을 표명한다. 또 이 역사가 낳은 내외의 모든 희생자에게 깊은 애도의 뜻을 바친다. (중략) 패전일로부터 50주년을 맞이한 오늘, 우리나라는 깊은 반성에 입각하여 독선적 내셔널리즘을 배척하고 책임 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국제협조를 촉진하고 그것을 통해 평화의 이념과 민주주의를 널리 퍼뜨려 나가야 한다. (이하 생략)







◇ 고이즈미 담화

(전략) 우리나라는 일찍이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많은 나라들, 특히 아시아 여러 나라의 사람들에게 크고 많은 손해와 고통을 줬다. 이러한 역사의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여 다시 한번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 사죄의 마음을 표함과 더불어 지난 대전(大戰)에서의 내외(內外) 모든 희생자께 삼가 애도의 뜻을 표한다. 비참한 전쟁의 교훈을 풍화시키지 않고 다시는 전쟁하는 일이 없이 세계 평화와 번영에 공헌해 나갈 결의다. (중략) 우리나라의 전후 역사는 정말 전쟁에 대한 반성을 행동으로 보여준 평화의 60년이다. (중략) 특히 일의대수(一衣帶水, 한 줄기 좁은 강물이나 바닷물) 사이에 있는 중국이나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여러 국가들과는 함께 손을 잡고 이 지역의 평화를 유지하고 발전을 지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과거를 직시하고 역사를 바르게 인식해 아시아 여러 나라와의 상호 이해와 신뢰를 기반으로 미래 지향의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아가고자 한다. (중략) 우리나라는 세계평화에 공헌하기 위해 부전(不戰)의 맹세를 견지하며 유일한 피폭국으로서의 체험이나 전후 60년의 행보에 입각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 나갈 생각이다. (이하 생략)





◇ 아베 담화

(전략) 100년 이상 전의 세계에는 서양제국을 중심으로 한 나라들의 광대한 식민지가 확산하고 있었다. 압도적인 기술우위를 배경으로 식민지 지배의 파도는 19세기 아시아에 밀려왔다. 그 위기감이 일본에 근대화의 원동력이 된 것은 틀림없다.(중략) 러일 전쟁은 식민지 지배 아래 있었던 많은 아시아나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용기를 줬다. (중략) 그런데 세계 공황이 발생해 구미 제국이 식민지 경제를 둘러싼 경제 블록화를 진행해 일본 경제는 큰 타격을 받았다. 그런 가운데 일본은 고립감이 깊어지고 외교적 경제적 막다른 골목을 힘의 행사에 의해 해결하려고 시도했다. (중략)우리 나라는 앞선 대전(大戰)에서의 행위에 관해 반복해서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의 마음을 표명해왔다. 그 생각을 실제의 행동으로 보여주기 위해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비롯해 동남아시아의 나라들, 대만, 한국, 중국 등 이웃인 아시아인들이 걸어 온 고난의 역사를 가슴에 새기고 전후 일관해서 그 평화와 번영을 위해 힘을 다해 왔다. 이런 역대 내각의 입장은 앞으로도 흔들림이 없을 것이다.(이하 생략)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