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처, 국내 모든 에스컬레이터 긴급 안전점검
지난달 중국 사망사고 계기…미흡시설은 운행정지 명령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국민안전처는 지난달 26일 중국에서 에스컬레이터 발판이 꺼지면서 30대 여성이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국내 모든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긴급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안전처는 14일까지 유지관리업체별로 국내 2만8천244대의 에스컬레이터를 점검하도록 해 미흡한 사항은 개선하고 결과를 승강기종합정보망에 입력하도록 했다.
이와 별도로 10일부터 검사기관과 함께 전국 6대 도시의 엘리베이터 266대를 표본 점검하고 있다.
안전처는 점검 결과 미흡한 시설은 즉시 운행 정지를 명령한 뒤 개선 여부를 확인해 운행을 재개하도록 할 계획이다.
결함이 있음을 알고도 운행하면 승강기시설안전관리법에 따라 과태료를 부과한다.
안전처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399건의 에스컬레이터 사고가 발생해 8명이 숨지고 440명이 부상했다.
유형별로는 넘어져서 발생한 사고가 315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끼임과 추락, 역주행 등에 의한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처 관계자는 "국내 에스컬레이터의 제조와 설치, 유지는 국제표준 검사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관리돼 중국과 같은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말했다.
한편 안전처는 지난달 29일 지방자치단체별 안전지수를 발표한 이후 17개 시·도 모두가 지수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전했다.
2개 분야에서 5등급을 받은 전라남도는 경찰청, 교통안전공단과 합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사고가 잦은 곳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캠페인을 계획하고 있다.
안전처는 개선 의지가 높은 4개 지역을 선정해 지역안전 개선을 위한 컨설팅을 추진한다.
27일 서울청사에서는 시·도 재난안전실장이 참여하는 회의를 열어 지자체 안전관리역량 강화방안을 논의한다.
다음 달에는 중앙과 지방의 안전관리 전담부서 관계자와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안전사고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한 합동세미나를 두 차례 열 계획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