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대사관 수요집회서 80대 분신…"더 참을 수 없었다"(종합3보)

편집부 / 2015-08-12 22:58:18
아베·박근령 비판 성명서 남겨…전신 56% 화상입고 수술 예정

日대사관 수요집회서 80대 분신…"더 참을 수 없었다"(종합3보)

아베·박근령 비판 성명서 남겨…전신 56% 화상입고 수술 예정



(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12일 낮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수요집회' 도중 최현열(81)씨가 유서와 성명서를 남기고 분신해 중태에 빠졌다.

최씨는 이날 낮 12시40분께 미리 써둔 성명서와 가족 앞으로 남긴 유서, 자신의 신분증 등이 든 붉은색 가방을 던진 뒤 몸에 인화물질을 뿌리고 불을 붙였다.

당시 일본대사관 앞에서는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8월 14일)을 맞이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주최로 2천500여명이 참석한 '세계 일본군위안부 기림일 세계연대집회'가 열리고 있었다.

A4 용지에 손으로 빽빽하게 쓴 성명서에서 최씨는 박근혜 대통령의 동생 박근령씨가 최근 친일 논란이 인 발언을 한 것과 관련해 "박근령 여사의 발표문을 접하고 더는 참을 수 없었다"고 분신 이유를 밝혔다.

그는 박근령씨에 대해 "선친과 언니를 모독하고 국민에게 막말을 해서 되겠느냐"며 "역사와 국민의 심판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일본 아베 정권에 울분을 토하면서 위안부 할머니들이 수요집회를 해도 아베 정권이 전혀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개탄하기도 했다.

유서 형식의 글에서는 대한민국 재단에 불타는 마음을 바치고 나라 살리는 길을 걸어가기로 결심했으니 뜻을 이해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보내 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씨가 이날 집회 장소 뒤쪽 제일모직 건물 앞 화단에서 분신하자 집회 참가자들이 달려들어 물과 플래카드, 소화기 등으로 불을 껐다.

최씨는 서울 한강성심병원 중환자실에서 수액치료 중이다.

최씨는 행사에 참석하려고 이날 광주광역시에서 상경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씨는 광주지역 민간단체인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후원회원으로 활동해왔으며, 미쓰비시 중공업을 상대로 한 할머니들의 손해배상 소송 재판이 있을 때마다 법정에서 재판을 지켜보고 피해자들을 격려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또 최씨의 아버지는 일본강점기인 1932년 6월 '영암 영보 농민 독립만세 시위'에 참여한 혐의로 징역 1년을 선고받는 등 항일독립운동을 했지만, 독립유공자로 추서되지는 않았다고 최씨가 활동했던 시민모임 측이 설명했다.

윤미향 정대협 대표는 "매달 1∼2회 정대협 수요시위에 참석하려고 상경했던 분"이라며 "조용하던 분인데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최씨를 진료한 양형태 한강성심병원 화상외과 교수는 "현재 전신 56%에 화상을 입은 상태이고 이 중 40% 이상이 3도 화상"이라며 "몸 안으로 염증이 진행하면서 파고들어갈 수 있어 이틀 후 죽은 피부를 제거하는 수술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 교수는 최씨가 고령인 데다 화상이 중해 생사를 장담할 수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가슴과 팔다리 등 상반신과 특히 목과 얼굴에 심한 화상을 입은 최씨는 현재 의식이 없으며 폐 기능이 많이 약화해 기계 호흡기를 건 상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