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 끝내고 평화공동체로"…시민단체 공동선언 발표

편집부 / 2015-08-12 13:28:24
종교·시민사회 등 9천63명 참여…"평화체제 위해 조건 없이 대화해야"
△ '광복 70돌, 8·15 평화와 통일선언' 발표회 (서울=연합뉴스) 12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광복 70돌, 8·15 평화와 통일선언' 발표회에서 공동선언에 참여한 각계 인사들이 연단에 앉아있다. 이 선언에는 '광복 70돌, 6·15 공동선언 15돌 민족공동행사 남측 준비위원회'가 주최했으며 시민사회·종교계 등 각계에서 9천63명이 참여했다. (남측 준비위 제공)

"분단 끝내고 평화공동체로"…시민단체 공동선언 발표

종교·시민사회 등 9천63명 참여…"평화체제 위해 조건 없이 대화해야"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광복과 분단 70년을 맞아 한반도의 분단·대결 종식과 통일·평화공동체 실현을 촉구하는 시민사회의 공동선언이 발표됐다.

'광복 70돌, 6·15 공동선언 15돌 민족공동행사 남측 준비위원회'(이하 남측 준비위)는 12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발표한 '광복 70돌, 8·15 평화와 통일선언'에서 "남북이 갈등의 70년 분단체제를 넘어 대결과 적대를 청산하고 새로운 통일·평화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 전진해 나가자"고 촉구했다.

이 선언에는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김삼열 독립유공자유족회 회장, 정현백 참여연대 대표 등 통일운동단체를 비롯해 시민·사회·청년·노동단체와 종교계 등 회원 9천63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공동선언에서 "식민지와 분단체제로 인한 한반도의 고통은 종전과 해방 70년이 되는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며 "한반도 평화는 분단체제라는 비정상적 전후 질서를 청산하지 않고는 이뤄질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반도의 분단과 불안정한 정전상태가 상시적인 무력 충돌의 위기뿐 아니라 과도한 외세 개입과 군비경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데 참여자들은 인식을 같이했다.

이들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위한 실질적인 대화를 조건 없이 추진해야 한다"며 "한국전쟁 주요 당사국들과 함께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기 위한 협상을 즉각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는 ▲ 정전체제의 평화체제 전환 ▲ 북미·북일 관계의 정상화 ▲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 등을 과제로 꼽으며 "이런 문제를 포괄적이고 대담하게 협상하는 길만이 한반도 문제의 엉킨 실타래를 풀 길"이라고 조언했다.

남측 준비위는 이날 북측 준비위와 올해 8·15 남북공동행사 개최를 추진했지만 결국 무산된 데 대해 사과했다.

이창복 남측 준비위 상임대표의장은 "광복 70돌을 맞는 올해 6·15 행사도, 8·15 행사도 공동행사로 치러내지 못했다"며 "좌절하지 않고 인내하며 남북 화해협력과 상생공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남측 준비위는 광복절인 15일 서울 대학로에서 '광복 70돌, 8·15 민족통일대회'를 열 계획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