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목함지뢰 도발' 경기도 대북사업 차질 우려
유소년 축구대회·말라리아 공동 방역 향방 촉각
(의정부=연합뉴스) 김도윤 기자 = 경기도가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 사건으로 대북 사업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까 촉각을 세우고 있다.
특히 정부가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히면서 애초 예정했던 대북사업들에 불똥이 튈 것을 내심 우려하는 분위기다.
경기도는 올해 광복 70년이자 분단 70년을 맞아 기존 대북 사업에 11개 사업을 추가하고 남북교류협력 예산을 지난해보다 20% 늘어난 60억 원으로 책정하는 등 대북사업에 큰 관심을 보여왔다.
그러나 벌써 올해도 절반이 지났지만 사업비는 10억 원가량 밖에 사용하지 못했다.
지난 1∼2월 중국 청두(成都)에서 열린 4개국(한국,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유소년 축구 대회와 지난 5월 중국 난징(南京)에서 열린 3개국(한국, 북한, 중국) 양궁대회, 그리고 3월 개성공단 보건·의료 지원 사업과 4월 탈북주민 행사 등이 전부다.
현재까지 북한 주민 등을 직접 겨냥한 인도적 지원사업은 성사된 게 없다.
이 때문에 도는 남경필 지사가 신년 인터뷰에서 밝힌 4개국 유소년 축구 대회 남북 두 차례 개최에 기대를 걸고 하반기 대회를 놓고 북측과 협의해 왔다.
연내 평양에서 먼저 대회를 연 뒤 추후 도내에서 다시 개최하는 방안으로, 최근까지 논의가 상당히 진전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군의 목함지뢰 도발이라는 예기치 않았던 큰 변수가 등장하면서 이 대회의 전망도 불투명해졌다.
비록 유소년 축구대회가 정치적 부담이 적은 스포츠 교류지만 과거 사례로 보면 북측이 협의를 중단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올해 말라리아 공동 방역작업 역시 시험대에 올랐다.
특히 올해는 처음으로 인천시와 강원도를 포함한 3개 광역단체가 공동으로 남북 접경지역 방역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었지만 아직 북측의 답변이 없는 상태다.
이 사업은 북쪽에서 남하하는 매개 모기를 막기 위한 것으로, 2002년부터 북한과 공동으로 진행해 나름 큰 성과를 거둬왔다.
실제 공동 방역이 이뤄진 해에 국내 말라리아 환자가 크게 줄어든 반면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사건' 등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돼 북한에 말라리아 방역 물품을 지원하지 못했던 해와 이듬해에는 말라리아 환자가 늘었다.
지난해의 경우, 인천 아시아게임 때 북한이 응원단을 파견하지 않기로 하면서 말라리아 공동 방역 물품 지원도 중단됐다.
이밖에 도는 개성지역 어린이 치아건강과 기생충 구제 사업, 남북합작 자전거 수리 공장 건립 등을 올해 신규 사업으로 추가했지만 아직 논의조차 시작하지 못했다.
도 관계자는 11일 "도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은 인도적 차원의 지원인 만큼 정치·군사적인 영향을 받지 않기를 기대한다"며 "중앙부처와 협의해 사업을 차질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