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점유율 낮은 북미·유럽…수출 확대 걸림돌"

편집부 / 2015-08-11 11:00:17
코트라 시장점유율 분석 보고서

"시장점유율 낮은 북미·유럽…수출 확대 걸림돌"

코트라 시장점유율 분석 보고서



(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의 낮은 시장 점유율이 한국의 수출 확대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코트라(KOTRA)는 11일 발표한 '시장점유율 분석을 통한 한국 수출시장 재조명' 보고서를 통해 "다른 지역에 비해 북미와 유럽에서의 한국 상품 시장점유율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라며 "수출 확대를 하려면 무엇보다 북미·유럽 시장부터 공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요 수출대상국 50개국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14년까지 10년 동안 우리나라 상품의 시장점유율 변화를 분석한 이 보고서는 전체 수출에서 12.5%(2014년 기준)를 차지하는 북미에서의 시장점유율이 2.71%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10년 전보다 오히려 0.2%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다만 5년 전 수치인 2.31%보다는 높아졌는데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 시장 상황은 더 좋지 않다. 전체 수출에서 13.1%를 차지하는 주요 시장이지만 우리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0.83%에 불과했다. 10년 전 점유율인 1.09%보다도 떨어졌다.

보고서는 "한-EU(유럽연합) FTA 활용을 극대화함은 물론이고 더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유럽과 북미 두 지역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6%에 이르는 큰 시장인데 이 같은 고부가가치 시장에서 멀어지면 우리 상품과 기업의 경쟁력도 함께 약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50개국 시장 전체를 살펴보면 한국 상품의 2014년 시장 점유율은 10년 전보다 0.28%포인트 높아진 3.34%를 기록했다.

중국은 2004년 9.91%에서 지난해 14.64%로 올랐고 일본과 대만은 각각 3.22%포인트(7.73% → 4.51%), 0.25%포인트(2.73%→2.47%) 낮아졌다.

중국의 상승세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수출 경쟁국인 일본이나 대만과 비교하면 선전한 모습이다.

신흥시장에서도 대체로 좋은 성과를 거뒀다. 중동·아프리카에서 10년간 0.4%포인트 오른 3.07%를 기록했고, 독립국가연합(CIS)에서도 지난 10년 동안 0.67%포인트 늘어 2.88%까지 올랐다.

지난해 시장점유율이 6.41%로 가장 높은 아시아·대양주에서는 10년간 0.19%포인트 감소했다.

김재홍 코트라 사장은 "조사 결과는 과거 10년 동안 우리 수출이 신흥국 시장에서는 성과를 올렸지만 북미·유럽 등 선진국 시장 공략은 미흡했음을 말해준다"며 "이들 시장에서 우리 상품과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